
추경호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 체포동의안이 오늘(27일) 국회에서 가결됐습니다. 오후 3시쯤 본회의 마지막 안건으로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이 상정됐고, 정성호 법무장관의 이유 설명과 추 전 원내대표 신상발언에 이어 무기명 표결에 들어갔습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내란몰이 정치공작이라면서 집단 퇴장했고, 표결 결과는 총 투표수 180표 가운데 '찬성 172표, 반대 4표, 기권과 무표 각각 2표'로 재적 과반 출석에 출석 과반 찬성이라는 가결 요건을 넉넉하게 넘겼습니다. 이로써 추 전 원내대표 구속 여부는 며칠 뒤 법원 실질심사에서 최종 결론이 나게 됐습니다.
1. 법원이 볼 핵심 사안 '4번의 공지, 3번의 통화'
추 의원실과 국민의힘에서도 표결 직전 "체포영장에 적시된 내용들이 대부분 허구에 가까운 내용"이라면서, 민주당 주문에 맞춰 특검이 꿰맞추기 창작을 했다는 취지의 언론 자료를 배포했습니다. 추 의원 측은, 계엄 4일 전 대통령과의 만찬 등 몇 가지 의혹에 대해 해명하기는 했지만 자세한 설명은 차후 기회가 될 때 말씀드리겠다고 했습니다.

다음 주 열리게 될 영장실질심사에서 결국 핵심이 될 부분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당시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4번의 의원총회 장소 공지'와 '3번의 통화' 부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른바 '범죄 혐의가 소명됐다'라고 볼지, '다툼의 여지가 있다'라고 볼지 갈라질 대목입니다.
의총 장소를 계속 바꾸고, 그 사이 홍철호-한덕수-윤석열 세 사람과 통화가 있었습니다. 윤 전 대통령과는 2분간, 한덕수 전 총리와는 7분 동안 통화했습니다. 특히 한동훈 당시 대표와 함께 국회에 진입했지만, 본회의장에 들어가지 않고 밤 11시 48분 이후 계속 원내대표실에만 머물렀습니다. 국회에 있으면서도, 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우물쭈물'하다가 벌어진 일인지, 표결을 방해하거나 지연하려는 '의도성'이 있다고 볼 것인지, 영장실질심사에서 1차적인 법적 판단을 받게 되는 셈입니다.
2. '사과' 놓고 고민은 쌓이는데...
현장 기자들 취재에 따르면, 한덕수·박성재 두 사람처럼 추경호 전 원내대표 역시 기소는 몰라도 구속은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국민의힘의 대체적인 전망입니다. 그럼에도 만약 추 전 원내대표가 구속된다면, 국민의힘을 향한 '내란정당', '위헌정당 해산론' 공세가 강화되는 건 필연이겠죠. '윤석열 단절' 문제에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국민의힘 내부 혼선은 더 커질 것입니다.
그래서인지 오늘 국민의힘 지도부가 오찬 회동을 했는데, 무슨 얘기를 했는지 묻는 기자들 질문에 "고민할 지점이 많아서 의견 청취 중"이란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신동욱 최고위원은, "추경호 전 원내대표 영장실질심사와 맞물려 있어서, 그 결과를 보면서 계엄 1년 사과 문제의 시기와 수위 등 충분히 고민할 지점들이 많이 있다"고 회의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당 지도부가 소속 의원 107명 전원에게 '계엄 사과 여부와 방식'을 묻고 있고, 일부 의원들은 당 지도부가 안하겠다면 우리만이라도 사과에 나서겠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가세했는데, 오늘 국회 행사에 나와서 "원래 사과라고 하는 것은 사과를 받는 분들이 진심을 느낄 때 의미가 있는 것 아닌가. 5번 하면 어떻고, 100번 하면 어떻나. 진정성이 국민에 닿을 때까지 계속해서 진심을 담은 사과와 반성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