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현주 국가안보실 제3차장이 23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의 한 호텔에 마련된 한국 취재단 기자실에서 G20 정상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 성과에 대해 "국익중심 실용외교의 지평을 아프리카 등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제3세계 국가들)로 확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통령의 남아프리카공화국 방문을 수행 중인 오 차장은 이날 요하네스버그 현지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같이 소개했습니다.
오 차장은 "이 대통령은 이번이 아프리카에서 열린 첫 G20이란 점을 고려해 아프리카와의 연대·협력 의지를 보였다"며 "또 세계무역기구(WTO) 다자무역체제 복원의 필요성도 언급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에너지 고속도로와 햇빛·바람소득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 정책의 모범사례도 소개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2028년 G20 의장직을 대한민국이 수임했다"며 "국격을 제고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전날 채택된 'G20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선언' 말미에 내년 미국, 2027년 영국, 2028년 대한민국이 의장직을 수임한다는 점이 명시됐다"며 "이로써 이 대통령은 임기 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 이어 '국제 협력의 최상위 포럼'으로 불리는 G20 의장직도 맡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특히 2028년은 G20 출범 20주년이 되는 해로, 복합적인 국제 현안에 대한 협력 강화를 도모하는 데 우리나라가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내다봤습니다.
이 대통령이 참여한 'G20 남아공 정상선언'에 미국이 반대 의사를 밝혔다는 점, 이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의에서 언급한 다자무역 강화 및 기후대응 국제협력에 대해 미국 정부가 부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점 등을 두고 우려가 제기된다는 취지의 질문도 브리핑에서 나왔습니다.
이에 오 차장은 "미국 역시 내년 G20 의장국을 맡기로 돼 있다. G20과 관련한 셰르파 회의(정상회의 실무담당 회의)에도 참석했고, (선언문의) 문안 협상에도 참여했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에 미국이 G20에 불참한 것은 꼭 G20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G20은 국제경제 및 기후변화 등 다양한 현안이 논의되는 장이다. 앞으로도 이런 주요 현안들은 계속 다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