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자막뉴스] "수능 잘못 출제" "정답 없는 문제"…철학과 교수 직격에 평가원 '발칵'

수능 국어영역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에서 철학 지문이 제시된 17번 문항이 잘못 출제됐다는 철학과 교수 주장이 나왔습니다.

이충형 포항공대 철학과 교수는 오늘(19일) 한 수험생 커뮤니티 게시판에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해서 풀어 봤는데 17번 문항에 답이 없어 보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충형 포항공대 철학과 교수 : 피상적 유사성을 가장 잘 판단하는 그런 AI가 나온 시대에 이 수능 문제가 그냥 피상적 유사성만 가지고 푸는 그런 방식으로 내야겠느냐라는 생각에 이런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 문항은 수험생이 한 목소리로 고난도 문항으로 꼽기도 했는데,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인격 동일성에 관한 견해를 담은 지문을 읽고 푸는 문제입니다.

두뇌에서 일어나는 의식을 스캔해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경우, 본래의 자신과 재현된 의식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라는 '갑'의 주장을 제시한 뒤, 이를 이해한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찾으라고 요구했습니다.

평가원이 공개한 정답은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에 의하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지 않겠군' 이라고 한 3번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교수는 갑의 입장이 옳기 때문에 3번이 정답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엄밀한 철학적 논증 방식을 적용했을 때 3번이 옳은 답이 아님을 보여주는 추론을 할 수 있고, 반대로 지문의 피상적 내용을 바탕으로 3번이 맞다고 선택했을 때 그것이 실제로는 틀렸다고 주장할 수 있는 논증 방식도 존재한다는 겁니다.

[이충형 포항공대 철학과 교수 : 쉽다고 생각하는 풀이는 틀린 풀이입니다. 그 풀이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이 문제도 실제로는 굉장히 어려운 문제였고 틀린 문제인 거죠.]

이 교수는 국어 17번 문항과 관련 있는 '수적 동일성' 개념을 이용해 쓴 수정란과 초기 배아 지위에 관한 논문으로 철학자 연감이 선정한 '2022년 최고의 철학 논문 10편'에 선정된 바 있습니다.

독해·논리 유명 강사인 이해황 씨도 이 교수 의견에 동의한다는 글을 수험생 커뮤니티에 올렸습니다.

이 씨는 "교수님의 주장은 논리적으로 매우 타당하며, 수능 국어 문제의 구조적 허점을 정확하게 꿰뚫고 있는 고차원적 비판"이라고 말했습니다.

(취재 : 김민정, 영상편집 : 김나온,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