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수능 국어 17번 정답 없다"…포항공대 철학 교수의 주장

"수능 국어 17번 정답 없다"…포항공대 철학 교수의 주장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일인 13일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 마련된 고사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 문항에 정답이 없다는 대학 교수의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오늘(19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충형 포항공대(포스텍) 철학과 교수는 수능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 게시판에 쓴 글에서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하기에 풀어 보았는데 17번 문항에 답이 없어 보였다"고 주장했습니다.

EBS와 학원가, 수험생이 한목소리로 고난도 문항으로 꼽은 국어 17번은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인격 동일성에 관한 견해를 담은 지문을 읽고 푸는 문제입니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7번 문항 (사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연합뉴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7번 문항

17번 문항은 두뇌에서 일어나는 의식을 스캔해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경우, 본래의 자신과 재현된 의식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라는 '갑'의 주장을 제시한 뒤 이를 이해한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찾으라고 요구합니다.

평가원이 공개한 정답은 3번인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에 의하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지 않겠군'입니다.

그러나 이 교수는 갑의 입장은 옳기에 3번이 정답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문을 보면 '칸트 이전까지 인격의 동일성을 설명하는 유력한 견해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 단일한 주관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한다는 것이었다'는 문장이 지문 도입부에 나옵니다.

그런데 스캔 프로그램으로 의식이 재현되면 '단일한 주관'이라는 조건을 충족하지 않기 때문에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다는 것입니다.

이 교수는 또 "개체 a와 b 그리고 속성 C에 대해 'a=b이고 a가 C면, b도 C다'를 통해 풀 수 있는 문제라 생각할 수 있지만, 얼핏 당연해 보이는 이 풀이는 실제로는 잘못된 풀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갑은 '생각하는 나'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 영혼에 대해서는 말하고 있지 않아서, '생각하는 나'와 '영혼'의 연결 고리가 필요하다"며 "이 둘의 유일한 연결고리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라는 표현인데 지문과 보기 어디에도 나오지 않는 표현"이라고 했습니다.

이 교수는 언론사와 통화에서 "(문제 출제자가) 'a=b이고 a가 C면, b도 C다'는 논증을 너무 쉽게 생각한 듯하다"면서 "실제로는 굉장히 복잡한 개념이 사용된 상황이어서 이런 논증이 간단하게 적용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논증이 이 상황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과 지속성이라는 개념 자체도 고등학교 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라며 "저 역시 지문을 이해하는 데만 20분이 걸렸다"고 말했습니다.

이 교수는 국어 17번 문항과 관련 있는 '수적 동일성' 개념을 이용해 쓴 수정란과 초기 배아 지위에 관한 논문으로 철학자 연감(The Philosopher's Annual)이 선정한 '2022년 최고의 철학 논문 10편'에 선정된 바 있습니다.

독해·논리 유명 강사인 이해황 씨도 이 교수와 같은 견해를 담은 동영상을 유튜브에 게시했습니다.

이 강사는 "이 교수님이 이런 주장을 메일로 보내주셨고, 면밀히 검토한 결과 저도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