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오늘부터 은행 영업점에서도 타행 계좌 조회·이체 가능

오늘부터 은행 영업점에서도 타행 계좌 조회·이체 가능
▲ 금융위원회

오늘(19일)부터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오프라인으로 확대됩니다.

고령층 등 디지털금융소외계층과 영업점 폐쇄지역 거주자도 은행 영업점에서 다른 은행 계좌를 조회·이체하고 자산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오늘부터 전국 11개 은행(농협·신한·우리·기업·국민·하나·아이엠·부산·광주·전북·경남)에서 오픈뱅킹을, 전국 8개 은행(농협·신한·우리·하나·국민·광주·전북·기업)에서 마이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픈뱅킹은 금융결제원을 통해 운영되는 금융권 공동 인프라로 2019년 도입됐습니다.

간편결제·송금, 자산관리 및 해외송금 등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의 기반이 됩니다.

2022년 본격 시행된 금융 마이데이터를 통해 이용자는 금융자산·거래내역 등을 통합적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다만 두 서비스 모두 웹·모바일 등 온라인 방식으로만 제공이 가능하고 오프라인에서는 안됐습니다.

이에 금융위는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과 영업점 폐쇄지역 거주자 등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금융소비자 이익을 우선하는 핵심 원칙하에 채널을 대면으로까지 확대합니다.

은행권은 과당경쟁 방지, 소비자 보호 및 데이터 보안, 은행 창구별 서비스 제공 편차 방지 등을 지켜야 합니다.

이번 서비스 확대로 디지털 취약계층 등의 금융서비스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영업점 폐쇄 등으로 인한 지역 간 격차에 따른 금융 소외 문제를 완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영업점 수는 2019년 6천709개에서 2024년 5천625개로 16.2% 감소한 상황입니다.

오늘 은행 영업점 현장을 방문한 권 부위원장은 "인공지능(AI)·디지털 등 기술 발전으로 전체적인 생산성은 크게 개선됐지만 그 결과를 모든 구성원이 함께 나누고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며 은행권에 맞춤형 안내·홍보 등을 당부했습니다.

이어 "이 서비스가 포용적 금융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시행 이후 제반 사항을 점검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