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현장 자료화면
정부가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를 위해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공사의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합니다.
정부는 오늘(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지역 건설사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입니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 및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정부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기준 상향 시 지역업체 수주 금액은 기존 대비 7.9%(약 2조 6천억 원) 늘어날 전망입니다.
공사 전 구간에서 지역업체 우대 평가도 강화합니다.
100억 원 미만 공사에 적용되는 적격심사낙찰제에서는 낙찰자 평가 시 지역업체 참여에 가점을 주는 근거를 신설합니다.
100억 원 이상 공사의 종합심사낙찰제에서는 지역경제기여도 만점 기준을 상향하고, 관련 가점도 확대합니다.
기술형 입찰에서는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PQ)에서 지역업체 참여비율을 배점제로 신설하고, 낙찰자 평가에서는 지역자재·장비 등 활용계획 제출 시 가점을 부여합니다.
이러한 지역업체 우대 평가 신설로 지역업체의 수주 금액은 약 7천억 원이 늘어날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습니다.
정부는 지역 건설업체의 형식적 이전 방지를 위해 본사 소재지 유지 의무 기간을 현행 90일에서 180일로 확대하고, 페이퍼 컴퍼니 선별을 위해 낙찰예정자 심사 시 현장 실태조사를 병행하는 사전점검제도 시행합니다.
담합 방지 차원에서 조달철-공정거래위원회 간 모니터링 체계도 강화합니다.
정부는 대책 관련 시행규칙·계약예규를 조속히 개정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