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리오 아모데이 앤트로픽 최고경영자(CEO)
인공지능(AI) 챗봇 '클로드' 운영사 앤트로픽이 미국 내 AI 인프라에 500억 달러(약 73조 원)를 투자합니다.
앤트로픽은 현지시간 12일 회사의 성장과 장기 연구 계획을 지원하고자 미국 텍사스주와 뉴욕주에 맞춤형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예정이라며 이처럼 밝혔습니다.
2026년 첫 가동을 목표로 하는 이들 데이터센터는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러스터를 공급하는 AI 클라우드 플랫폼 '플루이드스택'과 협력해 구축될 예정입니다.
앤트로픽은 이번 투자에 따라 미국 내 800개의 정규직 일자리와 2천 개 이상의 건설 일자리가 창출되리라 예측했습니다.
앤트로픽은 그러면서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이 "미국의 AI 리더십을 유지하고 미국 내 기술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AI 실행계획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며 "미국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의 경쟁력을 강화하게 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리오 아모데이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과학 발견을 가속화하고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방식으로 복잡한 문제를 돕는 AI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며 "이런 잠재력을 실현하려면 개발을 지속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거대 기술기업들은 최근 미국 내 AI 인프라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오픈AI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소프트뱅크·오라클과 함께 미국 전역에 데이터센터 건설을 발표하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위스콘신주에 데이터센터 건설이 막바지라고 지난 9월 소개했습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루이지애나주에 초대형 데이터센터 '하이페리온'(Hyperion)을 건설 중이며, 텍사스주에도 데이터센터를 지을 방침입니다.
아마존은 최근 인디애나주에 110억 달러 규모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레이니어'를 공개했는데, 이 데이터센터는 앤트로픽의 챗봇 클로드가 독점 사용합니다.
거대 기술기업들이 미국 내 데이터센터에 대량으로 투자하는 것은 급증하는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는 한편, 미국 내 제조업을 부활시키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에 맞추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사진=AP,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