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8뉴스

[단독] "한국 '핵연료 재처리' 삭제" 러트닉 요구로 지연

[단독] "한국 핵연료 재처리 삭제" 러트닉 요구로 지연
<앵커>

한미 정상회담이 끝난 지 2주나 지났습니다만 양국의 공동 설명자료는 여전히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 부처들끼리 조율하는 문제로 늦어진다는 건데 저희 취재결과, 러트닉 상무장관이 팩트시트에서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 관련 내용을 삭제하자고 요구하고 있는 걸로 확인됐습니다.

강민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달 29일, 경주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은 관세와 안보 분야에서 큰 틀의 합의를 이뤘습니다.

양해각서와 팩트시트가 곧 발표될 걸로 기대됐지만, 미국 정부 부처 내 이견으로 지연되고 있는 걸로 전해집니다.

SBS 취재 결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한국의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과 관련한 문안을 조인트 팩트시트에서 삭제하자고 주장하는 걸로 확인됐습니다.

민주당 의원이 언급했던 이른바 '러트닉의 몽니'가 이 내용이었던 셈입니다.

[김영배/민주당 의원 (그제, KBS 라디오 '전격시사') : 상무장관이 더 몽니를 부린다라고 제가 들었습니다. 러트닉 장관이 아마도 다른 욕심을 좀 내는 거 아닌가라고 할 정도로.]

한미 정상 간 충분히 논의되지 않은 사안이라고 주장하며 삭제를 요구하는 걸로 파악됩니다.

다만, 러트닉 장관은 한국의 원자력추진잠수함과 관련해서는 '한국에서 선체와 원자로의 제작'과 '미국의 봉인 핵연료 한국 제공' 등이 팩트시트에 담기는 데 대해, 이견을 표하지 않는 걸로 파악됐습니다.

러트닉 장관이 한미원자력협정 개정 문제와도 직결된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등에 대해서 어깃장을 놓는 건 상업용 원전 분야 등의 미국 이익과도 관련된 걸로 추정됩니다.

대통령실은 막판 팩트시트 협의에 인내심을 갖고 노력 중이라는 입장인데 이런 국면이 장기화할 거라고 보지는 않는 분위기입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핵심 안보 이슈들을 망라한 한미안보협의회의, SCM의 공동성명이 팩트시트 문제와 연계돼 발표가 지연되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미국 측에 전달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하륭, 영상편집 : 박춘배, 디자인 : 방민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