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성호 법무부 장관도 "수사 지휘를 하려고 했다면 서면으로 했을 것"이라며 지휘권 행사가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또 대통령실과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서는 논의 자체를 하지 않는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이어서 배준우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12일) 국회에 출석한 정성호 법무장관은 '신중히 검토하라'는 의견 전달 자체가 사실상 수사지휘권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야당 의원의 지적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정성호/법무장관 : 이게 저희가 지휘를 하려고 했다고 하면 서면으로 했을 것입니다.]
정 장관은 자신은 검찰의 항소를 반대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고, 검찰 의견을 존중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히 판단하라는 얘길 했었던 거라고 부연했습니다.
판단에 대한 책임은 검찰의 몫이라고도 했습니다.
[정성호/법무장관 : 결국 판단의 주체는 검찰입니다. 검찰에서 판단하고 권한이 있으니까 그거에 따른 책임을 지는 겁니다. 신중하게 하라고 하지만 그거와 다르게 결정된 건 매우 많습니다.]
사건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실과 논의 자체를 하지 않는다며 대통령실 개입설에는 선을 그었습니다.
하지만, 야당 의원들은 '신중 검토하라'는 말은 결국 '하지 말라'는 뜻이라고 따졌습니다.
[서범수/국민의힘 의원 : '신중하게 검토해야 될 사항입니다' 하는 것은 부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지 않습니까?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항소를) 하지 말라는 소리거든요.]
여당 의원들은 검찰이 다른 사건에서 항소를 포기했을 때는 가만히 있던 검사들이 이번에는 집단반발한다고 날을 세웠습니다.
[정진욱/민주당 의원 : 장동혁 의원의 무죄가 나왔을 때,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1심에서 벌금 90만 원 선고받았을 때 검찰 항소 포기했습니다.]
정 장관은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할 생각이 있느냐는 야당 의원 질문에 "정치 보복적인 수사로 사퇴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일축했습니다.
(영상취재 : 공진구·김용우, 영상편집 : 위원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