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세계와의 약속 못 지켜"…33개 단체, '종묘 재개발' 비판 성명

"세계와의 약속 못 지켜"…33개 단체, '종묘 재개발' 비판 성명
▲ 한국문화유산협회 등 문화유산 관련 협회와 역사학·고고학·인류학 관련학회가 12일 서울 중구 모임공간 상연재에서 연 종묘 앞 고층 개발 시도 규탄 성명서 발표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서울 종묘 앞 세운4구역의 재개발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학계와 문화유산 관련 단체가 서울시의 고층 건물 개발 계획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한국고고학회, 한국건축역사학회 등 27개 학회와 문화유산 관련 6개 협회는 오늘(12일) 서울 중구 상연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는 종묘에 인접한 지역 건물 층고를 상향하는 규제 완화를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역사·고고·민속학 관련 학회와 문화유산 관련 협회가 모여 입장을 낸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들 단체는 "종묘의 하늘과 시야를 가리는 고층 개발 시도는 그 가치와 존엄을 훼손하는 행위"라며 "문화적 자존심에 상처를 주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질타했습니다.

이들은 서울시가 최근 세운4구역 내 건물 높이를 최고 145m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재정비 계획을 고시한 것과 관련해 "종묘의 경관이 고층 건물 아래에 억눌리는 결과를 초래한다"면서 세계유산의 가치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단순히 개발 이익과 관련된 문제로만 생각해선 안 된다"며 "사회 전체의 과제로 생각하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건축역사학회 소속으로 참석한 이연경 연세대 교수는 "세계유산은 건물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삶, 문화, 환경 등을 아우른다"며 "전체적인 경관, 그리고 수도 한양이 들어서면서 생겨난 이야기와 역사를 보존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중부고고학회장인 정해득 한신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최근 불거진 논란을 두고 "종묘를 세계유산에 등재할 당시 유산을 잘 보존하겠다고 세계와 약속한 내용을 지키지 못하는 위기"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성명에 참여한 단체들은 "서울시는 종묘에 인접한 지역에 대해 종묘의 경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고층 건물의 인허가를 전면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또 "관련 기관과 전문가, 학술단체의 자문과 평가를 거쳐 종묘의 경관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건물 배치와 높이 기준을 새로 마련하라"고 주문했습니다.

종묘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국가 사당으로, 1995년 12월 우리나라 1호 세계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