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일 열린 도교육청에 대한 교육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
충북도교육청 공무원 사망 사건과 관련, 충북도의회 교육위원회가 행정사무감사 개선책을 마련에 나섰습니다.
이정범 교육위원장은 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 속개에 앞서 입장문을 통해 "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 둘째 날이던 지난 6일 피감기관 소속 공무원 한 분이 안타깝게 세상을 떠나는 가슴 아픈 일이 발생했다"며 "갑작스러운 비보에 깊은 슬픔을 느끼며 유가족과 교육청 모든 직원 여러분께 깊은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습니다.
이 위원장은 이어 "위원장으로서 비극적 상황이 발생한 것에 책임감을 느끼며 죄송하다는 말씀밖에 드릴 수 없다"며 "사고 이후 유가족의 마음을 다시 아프게 하는 무분별한 비방·악성 댓글 작성자들에 대해서는 끝까지 추적해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 "이번 일을 계기로 고압적 태도나 과도한 질의로 인해 피감기관 공무원들의 자존감을 훼손하는 관행이 반복되지 않도록 행정사무감사 전반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하겠다"며 "피감기관 공무원에 대한 인격적 존중은 감사의 기본"이라고 했습니다.
이 위원장은 오늘(10일) 오후 도청 브리핑룸에서 교육위를 대표해 별도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사고와 관련해 특정 의원의 폭언·모욕적 언행, 과도한 자료 요구, 집행청 특정인을 겨냥한 표적 감사 의혹과 함께 교육청 내부의 직장 내 괴롭힘, 과도한 업무 부담, 조직 내 따돌림이나 갈등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어느 하나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중대한 사안으로 철저한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뒤따라야 한다"며 "교육위는 교육청이 필요한 절차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필요하다면 외부기관에 조사를 요청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피력했습니다.
앞서 지난 5일 교육위 행정사무감사에서 도교육청 특정 부서가 과거 특근 매식비 등을 부정하게 사용했다는 모 의원의 지적이 나왔고, 이튿날 도교육청 소속 6급 공무원 A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A 씨는 특근 매식비를 부정하게 사용했다는 등의 의혹이 제기된 당사자로 알려졌습니다.
(사진=충북도교육청 제공,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