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월~금 (14:00~16:00)
■ 진행 : 편상욱 앵커
■ 대담 : 성치훈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이창근 국민의힘 하남을 당협위원장
--------------------------------------------
● 장동혁 광주서 '봉변'
성치훈 /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호남, 보수 정당이라고 모두 반발하는 것 아냐…장동혁, 과거에 광주 망언 옹호해"
이창근 / 국민의힘 하남을 당협위원장
"국힘, 지방선거 전까지 호남 계속 찾을 수밖에…광주 민심 되돌아봐야"
▷ 편상욱 / 앵커 : 국민의힘 소식으로 넘어가 보죠.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어제 취임 후 처음으로 광주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러 갔습니다. 그런데 시민단체의 거센 저지로 인해서 짧은 묵념만 하고 돌아갔는데요. 어제 영상부터 보겠습니다. // 이창근 위원장 일단 장동혁 대표 광주 갔지만 이후 예정된 일정까지 다 취소를 하고 그냥 돌아왔는데 방명록에 이름도 못 썼다고 그래요. 광주 시민단체 측에서는 장동혁 대표가 계엄을 옹호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진정성이 없다. 이렇게 이유를 얘기했던데요.
▶ 이창근 / 국민의힘 하남을 당협위원장 : 물론 광주 시민단체에서 하는 얘기에 대해서 수긍을 할 수는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런 행동을 한 거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에 정말 5.18 민주화 정신을 생각하고 정말 통합 화합의 정신을 생각한다면 어쨌든 형식적으로라도 길은 열어주시고 그다음에 장동혁 대표의 사과를 받는 형태로 갔으면 어땠을까 하는 그런 생각을 저는 해봤어요. 하지만 어제 모습은 아마 다른 광주 시민들이 보시기에도 아마 거기에 찬성하는 분도 계시지만 거기에 또 찬성하지 않는 그러한 시민들도 저는 계실 거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앞으로 우리 국민의힘의 과제라고 저는 생각하는데요. 아마 앞으로 광주뿐만 아니라 호남을 지속적으로 찾을 수밖에 없어요. 내년에 지방선거가 있지 않습니까. 그렇다면 광주나 호남을 찾으면서 또 저런 일정을 해야 하는데 그 전이라도 장동혁 대표나 지도부도 왜 광주 시민들이 우리 지도부에 대해서 그러한 어떤 호응을 했는지 그걸 되돌아보고 거기에 대해서 어떤 답변은 내놔야 될 겁니다. 그리고 광주 시민들도 거기에 대해서 더욱더 좀 열린 자세로 마음을 열어주시기를 바라고요.
▷ 편상욱 / 앵커 : 보수 지도자들이 광주 5.18 민주묘지를 찾았다가 참배를 거부당한 게 장동혁 대표가 처음은 아니죠. 이전의 영상도 잠깐 보고 가죠. // 한덕수 총리가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외치는 저 장면 상당히 좀 이번 대선의 상징적인 장면이었는데 어떻게 해야 보수 정당이 호남 분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을까요.
▶ 성치훈 /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 그런데 우리가 지금 호남 분들이 반대하는 지도자들만 봐서 그런데요. 보수 정당 지도자가 간다고 늘 저렇게 격렬하게 항의한 건 아니잖아요. 이준석 전 대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이 국민의힘 지도부의 성격으로 광주를 찾았을 때 저런 모습이 연출되지 않았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무릎을 꿇었었죠.
▶ 성치훈 /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 그렇죠. 그런 모습 전혀 연출되지 않고 오히려 광주 시민분들께서는 진정성을 인정해 주는 모습들을 보였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 한덕수 전 총리 그리고 이번에 장동혁 대표까지 왜 이런 홀대와 반대의 목소리를 듣게 되느냐. 장동혁 대표 같은 경우는 내란에 동조했다. 그리고 최근에 면회까지 가지 않았냐라는 얘기가 있을 수 있고요. 그리고 과거에 장동혁 대표가 국민의힘 총선 후보 중에 노태우 후보라고 광주의 아픔과 관련돼서 망언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 발언을 옹호한 적이 있어요. 윤석열 전 대통령도 방금 영상을 봤습니다만 저의 부적절한 발언으로 상처를 받은 광주 시민분들께 사과합니다. 이 발언을 한 게 뭡니까. 국민의힘에 있는 보수 인사가 종종 광주와 관련된 아픔들에 대해서 거기에 재를 뿌리는 얘기들을 많이 하거든요. 그러니까 거기에 북한군이 개입됐다는 등등의 발언들을 계속해서 때가 되면 하기 때문에 그 망언들에 대해서 제대로 바로잡지 않은 정치인들 그리고 상처를 다시 한 번 후벼 팠다고 평가를 받는 계엄에 대해서 옹호하 거나 계엄에 동조했거나 아니면 그 사람을 면회 하라고 한 사람들 이런 사람들을 반대하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환영을 받고 싶다. 제가 말씀드린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처럼 진정한 사과를 하러 가는 방문을 하고 싶다. 그러면 이전에 있었던 행위들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시면 됩니다.
▷ 편상욱 / 앵커 : 알겠습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죠. 성치훈 전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이창근 국민의힘 하남을 당협위원장과 함께 했습니다. 두 분 수고하셨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편집부)
댓글 아이콘댓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여담야담] 장동혁, 5·18 참배 무산…거센 반발에 묵념만](http://img.sbs.co.kr/newimg/news/20251107/202126082_50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