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여담야담] 배치기·SNS 글 설전…'국감 대기' 김현지, 결국 불출석

[여담야담] 배치기·SNS 글 설전…국감 대기 김현지, 결국 불출석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월~금 (14:00~16:00)
■ 진행 : 편상욱 앵커
■ 대담 : 성치훈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이창근 국민의힘 하남을 당협위원장
--------------------------------------------

● '배치기'로 끝난 국감

성치훈 /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송언석·이기헌 '배치기', 국민 눈엔 똑같아…여당이 사과하는 게 바람직"

이창근 / 국민의힘 하남을 당협위원장
"이기헌, 사과 빙자한 조롱…야당 원내대표에 대한 존중 없어"

● "출석 대기" "꼼수 쇼"

성치훈 /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국힘, 김현지 끝내 안 나오길 바란 듯…정치 공방 이어가려는 것"

이창근 / 국민의힘 하남을 당협위원장
"김현지 논란, 민주·대통령실이 만든 것…김현지 출석하면 논란 해소"

▷ 편상욱 / 앵커 : 다음 주제로 넘어가 보죠. 어제 마무리된 국회 운영위 국감을 두고 오늘까지도 여야 간의 공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운영위 국감에서 하루 종일 여야 간에 충돌이 있었죠. 당시 상황부터 다시 보고 이야기 이어가겠습니다. // 송언석 원내대표와 이기현 의원 간의 배치기 충돌 어제 저희 시간대에 전해드리기는 했습니다. 이후로 국민의힘 이 의원 측에 사과를 요구했는데 이 의원이 자신의 SNS를 통해서 사과를 하기 했어요. 내용을 좀 볼까요. 죄라면 배가 나온 죄고 국민께 죄송하다. 이렇게 얘기를 했습니다. 성치훈 부의장 보시기는 어떻습니까. 배가 나온 게 죄송합니다. 옛날에 뭐 코미디언 이주일 씨가 못생겨서 죄송합니다라는 비슷한 얘기처럼 들리는데요. 

▶ 성치훈 /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 그러니까 배가 나와서 피하지 못했다는 말씀을 하신 것 같은데요. 그러니까 그러면서 본인이 영상을 올리면서 좀 억울하다는 생각을 말씀을 하셨어요. 왜냐하면 그 당시에 이기원 의원이 올린 내용에 따르면 운영위도 하고 정보위도 두 개 상임위를 동시에 하시거든요. 그런데 국감이 동시에 열려요. 그래서 동시에 하는 사람들은 운영위를 갖다가 정보위를 갖다가 좀 왔다 갔다  하는 부분이 있는데 운영위가 쉬게 돼서 정회가 돼서 바로 빠르게 나가려고 했는데 송언석 원내대표가 우리도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갑자기 뒤를 돌아서거든요. 그러면서 두 분이 충돌한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부딪히려고 이른바 배치기를 하려고 뛰어가서 부딪힌 게 아니라 나는 빠르게 정보위로 이석하기 위해서 가던 와중에 쿵 하고 부딪힌 거다. 그런데 내가 배가 나오지 않았다면 피할 수 있었을 텐데 그래서 배가 나온 건 잘못했다. 살 빼겠다고 한 건데요. 그런데 저도 지금 어떻게 보면 민주당의 입장에서 민주당 의원은 그래도 나가려고 하다가 부딪힌 것뿐이다라 고 책임 회피성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국민들 보시기에는 똑같아 보일 것 같아요. 결국 국회 회의장 안에서 싸우고 다투는 모습들이 그렇게 좋아 보이지는 않을 것 같고 그렇기 때문에 저는 이런 상황이 있을 때마다 우리 당이 조금 더 그냥 적극적인 사과를 하는 게 낫다. 저는 이기현 의원님께서 글을 올리신 거 매우 잘하셨다고 생각하고요. 여기에 한 발 더 이런 상황이 또 계속해서 지속되고 이렇게 또 뉴스 브리핑에서 다룰 정도로 언론이 관심을 계속 갖고 있다 보니까 그럼 집권 여당이 좀 더 많이 갖고 있는 저희 당이 사과를 한다 그러면 우리도 사과를 할 테니 그쪽도 그런 부분에 대해서 다른 부분 김현지 실장과 결국 이 사안의 본질은 김현지 실장의 출석이었잖아요. 때문에 그것과 관련해서 이런 부분은 물러나라 사과하라라는 그런 쪽으로 국민들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한 발자국만 더 이기현 의원께서 물러나주시면 좋지 않을까라고 개인적인 의견을 드려봅니다. 

▷ 편상욱 / 앵커 : 이창근 위원장은 어떻게 보십니까. 

▶ 이창근 / 국민의힘 하남을 당협위원장 : 저거는 사과가 아니죠. 사과를 하려면 제대로 해야죠. 오히려 본인이 사과를 빙자한 조롱이라고 저는 봅니다. 영상을 보신 국민들은 아실 거예요. 뭐냐 하면 나가다가 부딪힌 게  아니잖아요. 두 번씩이나 밀쳤잖아요. 그걸 어떻게 나가다가 부딪힌 거예요. 물론 이번 국정감사를 놓고 국정감사 NGO 모니터단도 F학점을 줬어요. 거기에 대해서는 여야가 모두 책임이 있고 할 말이 없어요. 정말 국민들이 피로감을 느끼는 거 맞아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원들은 헌법기관이잖아요. 그리고 상호 존중해야 하고 또 국회 내에도 서로 당은 다르더라도 서로 그  직에 맞는 그런 책임도 있고 그 직에 맞는 그런 존중도 있어야 되잖아요. 그렇다면 송언석 의원은 야당의 원내대표지 않습니까. 그런데 야당의 원내대표를 그렇게 두 번씩이나 밀치는 행동이 저는 잘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물론 운영위에서 서로 충돌하고 은행으로 충돌하고 했던 부분도 잘했다고 저는 생각을 안 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물리적인 충돌이 있었는 데 대해서는 이기현 의원이 사과를 정말 한다면 저는 제대로 하시라. 그래야지만 오히려 본인이 더 떳떳할 수 있다. 저는 그런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어제 운영위 국감 오후 시간대에는 여당 원내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하고 지금 주진우 의원 간의 설전이 벌어지지 않았습니까. 주진우 의원이 SNS에다가 김현지 실장이 김병기 원내대표보다 위에 있다. 이렇게 올리니까 이걸 두고 김병기 원내대표가 정면으로 항의를 했어요. 그러자 주진우 의원이 내 SNS인데 그것까지 검열을 받아야 하느냐 이렇게 항의를 했습니다. 어떻게 보셨습니까. 

▶ 성치훈 /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 김병기 원내대표가 이렇게 말씀하셨죠. 검열을 하겠다는 게 아니라 그런 글을 올렸기 때문에 나는 회의장을 통해서 그 내용에 대해서 반박하고 지적하는 거다라고 말했습니다. 정치인은 결국 말이나 글로 본인의 의견을 의사를 표출하는 거겠죠. 그러니까 김병기 원내대표가 주진우 의원한테 얘기를 했던 것은 그런 이야기를 내용적으로 모욕적이기도 합니다만 운영위에서 김병기 원내대표가 발언권을 안 준 것도 아니거든요. 발언권을 제한한 것도 아닌데 그런 이야기 할 게 있으면 내 앞에서 할 것이지. 왜 그렇게 SNS에 올리느냐 그 내용조차도 부적절한 것 아니냐. 왜냐하면 그런 부적절한 내용을 올렸을 때 상대방이 논쟁을 하기 위해서 반박을 해야 하는데 글에 올려버리면 그냥 허공에 대고 외치는 거잖아요. 언론에 대고 외쳐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김병기 원내대표 입장에서는 불쾌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저는 그거에 대해서는 지적을 한 게 전혀 검열을 위해서 지적했다거나 검열을 한다고 해서 그러니까 얘기를 한다고 해서 주진우 의원이 그 글을 내리거나 수정하겠습니까. 그럴 분도 아니기 때문에 다만 그런 것에 대해서 원내대표에 대한 집권 여당 원내대표에 대한 모욕적인 글을 올린 것에 대해서 공개적인 석상에서 지적하고 본인의 입장을 표명한 것뿐이다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이창근 위원장, 주진우 의원도 약간 좀 찔끔한 것 같기는 해요. 바로 김병기 원내대표가 문제를 삼았던 김현지가 김병기 원내대표보다 권력서열이 위다. 이 문장을 지웠어요. 

▶ 이창근 / 국민의힘 하남을 당협위원장 : 그렇습니다. 이건 아까 제가 송언석 원내대표와 이기헌 의원하고의 관계를 역지사지로 놓고 본다면 주진우 의원이 김병기 원내대표한테 사과를 하는 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김병기 원내대표도 주진우 의원보다 선수가 높고 선배지 않습니까. 그리고 국회 내에서 다툴 것은 상임위 안에서 다퉈야 하는데 상임위 밖에까지 가서 SNS에 그러한 은행을 올린 것은 사실은 김병기 원내대표 입장에서는 모욕적으로 들릴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그냥 은근슬쩍 SNS에 지우는 걸 넘어서서 본인도 시원하게 사과를 한다면 아마 본인이 국민들한테 더 떳떳할 거예요. 그리고 본인이 상임위에서 할 얘기를 더 할 수 있을 거예요. 그래서 저는 주진우 의원이 '주진우 의원, 국민의힘은 다르다' 이런 얘기를 듣도록 저는 속 시원하게 사과를 했으면 좋겠어요. 

▷ 편상욱 / 앵커 : 한편 운영위 국감에 김현지 실장이 끝내 불출석하면서 여야는 그 책임을 서로에게 미루는 모습이었는데요. 어떤 이야기가 나왔는지 들어보겠습니다. // 성치훈 부의장 어제 대통령실에서 오후에 공지를 했습니다. 김현지 실장을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시키기 위해서 부름이 있을 때  기다리도록 했다, 용산에 대기하도록 했다는 건데 그렇다면 어제 민주당에서, 국민의힘에서 의심하는 것은 김현지 실장을 부르지 않기 위해서 이렇게 배치기도 하고 서로 말싸움도 하고 그런 것 아니냐 이런 의심이에요. 어떻게 보세요. 

▶ 성치훈 / 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 글쎄요. 저는 전용기 의원의 우리가 영상 방금 들었던 발언이 맞다고 보는데요. 국민의힘은 김현지 실장이 끝내 안 나오기를 바랐을 겁니다. 그래야 김현지 실장이 끝끝내 나오지 않았다, 소통을 거부했다, 야당을 무시했다. 이 프레임을 계속 물고 늘어질 수 있지 않겠습니까. 만약에 정말 김현지 실장에게 물어보고 싶은 질문이 있기 때문에 본인들이 대변하는 국민들의 목소리를 대신 전달하기 위해서 정말 불러내는 게 정말 초유의 목적이었다면 그러면 짧은 시간이라도 부르면 되는 것 아닙니까. 오전에 부르겠다고 하니까 오전은 너무 짧다 그래서 안 된다. 그런 다음에 그러면 오후 몇 시간이라도 아니면 몇 시까지라도 3시간이라도 보장해 달라 이런 이야기를 한 것도 아니었어요. 오전이니까 안 된다. 이렇게만 해버렸거든요. 정말 진정성이 있었다면 계속해서 3시간이라도 보장해 달라 시간이 아니면 야당 의원의 질의 3명이라도 보장해 달라 이렇게 얘기하면 되거든요. 사실 한 바퀴를 다 돈다. 그러니까 야당 운영위원들이 다 한 번씩 질문을 한다 하더라도 대부분 비슷한 질문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 두세 명만 대표적으로 질문을 한다 하더라도 충분히 국민의힘에서 김현지 실장에게 물어보고 싶은 것 그게 무엇인지 중지를 모아서 충분히 할 수 있는 시간은 충분하다고 보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내 그냥 계속해서  김현지 실장은 가둬두고 있다, 안 부르고 있다. 김병기 원내대표보다 위에 있다 이런 식으로 정치적 공방을 이어가기 위해서 그냥 안 나오기를 끝끝내 바랐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에 진정성이 있었다면 용산 대기가 아니라 국회 대기 했어야 되는 거 아니냐 이런 지적도 하시거든요. 만약에 국회에 대기하고 있다고 하면 찾아내려고 난리가 났을 겁니다. 아마 찾아내려고 난리 나서 대기하고 있는 회의실 앞으로 국민의힘의원들 이 달려가서 무슨 또 김현지 나와라 이러면서 퍼포먼스를 했을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운영위 국감의 본질은 흐리고 정쟁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그래서 저는 용산에서 대기를 시킨 거라고 보고요. 그리고 대통령이 직접 얘기하셨다잖아요. 원래 우상호 정무수석이 이야기한 게 대통령 일정을 같이 하기 위해서 오늘 못 나온다 오후에는 못 나온다고 했는데 대통령이 따라오지 마라 그리고 일단 용산에 대기에서 국회에서 부르는 것으로 합의가 되면 그때 빨리 달려가라 이렇게 말씀하신 것이기 때문에 정말 국민의힘이 조금이라도 질문을 하고자 한다는 진정성이 있었다면 저는 불렀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편상욱 / 앵커 : 이창근 위원장은 또 어떻게 봅니까. 국민의힘은 김현지 실장이 끝끝내 어떤 핑계를 대든지 안 나와서 의혹을 증폭시키기 원한 건가요. 

▶ 이창근 / 국민의힘 하남을 당협위원장 : 민주당이 지금 얘기하는 것은 상상의 나래죠. 국민의힘이 정말 과연 김현지 실장이 안 나오길 바랐을까요? 아니죠. 김현지 실장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프로토콜이 있어요. 뭐냐 하면 첫째는 민주당이 합의를 안 하지 않습니까. 그런데 대통령실에서는 처음 어떻게 했습니까. 국회에서 합의를 하면 내보내겠다. 하지만 국회에서 합의를 안 한 것은 민주당이에요. 그리고 두 번째 김현지 실장의 문제는 저희가 먼저 제기한 게 아니잖아요. 제일 처음에 문제를 만든 것이 민주당이었고 그다음이 대통령실이었잖아요. 뭐냐, 민주당은 김현지 실장에 대해서 처음부터 증인을 반대를 했었고 두 번째는 대통령실에서 왜 국감 전에 부속실장으로 인사를 했죠. 그 얘기가 의혹을 증폭시킨 거 아니에요. 그래서 이 논쟁은 결국 민주당과 대통령 실이 만든 거거든요. 그래서 저는 민주당이 만약에 그렇게 자신 있으면 이제 국회는 상시 국회예요. 국정감사는 끝이 났지만 상시 국회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국회는 열립니다. 그러면 그 국회에 정말 김현지 실장이 하루라도 출석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모든 불식이 해소되겠죠. 그래서 그러한 모습을 보기를 바라고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김현지 실장 오전 출석 우리가 통상 국회를 알잖아요. 10시에 개회해서 인사말하고 증인 선서 듣고 그리고 업무 보고 받고 하면 오전이 지나가요. 그리고 거기에다가 의사 진행 발언까지 하면 질의할 시간이 오전에는 없어요. 운영위를 보셨지만 운영위에서 얼마나 많은 의사 진행 발언이 있었습니까. 그런데 어떻게 오전에 출석이 증인 신문이 되죠. 국정감사가 되죠. 안 되잖아요. 그래서 민주당이 두 가지 프로토콜을 의식하시고 앞으로 남은 국회에서 올 안에라도 김현지 실장이 출석한다면 민주당에 대해서 더 이상 저희가 어떤 말도 하지 않겠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알겠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