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2주째 축소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2주째 축소
[경제 365]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2주 연속 둔화했습니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조정대상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뒤, 대출 규제와 실거주 의무 강화로 '갭투자'가 사실상 차단된 영향으로 보입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9% 올라, 상승폭이 0.04%포인트 줄었습니다.

10월 중순 0.5%까지 치솟았던 상승률은 10·15 대책 이후 0.23%, 이번 주 0.19%로 2주 연속 둔화했습니다.

성동·광진·마포·영등포 등 이전까지 비규제 지역이었던 한강벨트 지역의 상승세가 특히 꺾였고, 송파·강동 등 일부 지역만 상대적으로 높은 오름세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는 여전히 매수세가 일부 남아 있지만, 시장 전체는 '관망 국면'이 길어지고 있습니다.

부동산원은 거래와 매수 문의가 줄며 상승폭이 점차 줄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 FIU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에 과태료 352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FIU가 부과한 과태료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두나무는 고객확인의무를 비롯해 거래제한의무, 의심거래 미보고 등 약 860만 건의 위반 사항이 적발됐습니다.

FIU는 지난해 8월부터 두 차례에 걸쳐 현장검사를 진행했고, 총 6차례 심의 끝에 이 같은 제재를 확정했습니다.

FIU는 이번 조치를 계기로 가상자산사업자의 관리·감독을 더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는 AI 오디오로 제작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