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TS)은 지난해 자동차 검사를 받은 차량 1천362만 1천817대 중 292만 461대가 부적합 판정을 받아 부적합률이 21.44%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21.56%) 대비 0.12%포인트 감소한 겁니다.
차종별로 부적합률을 보면 화물차가 26.95%로 전년(25.9%)보다 1%포인트 넘게 높아졌습니다.
특수차도 19.17%로 0.53%포인트, 승합차도 19.78%로 0.07%포인트 각각 올랐습니다.
승용차는 19.49%로 0.55%포인트 낮아졌습니다.
항목별 부적합률은 등화장치 부적합 차량이 181만 5천550대(13.33%), 전조등 70만 19대(5.14%), 브레이크 32만 946대(2.36%) 등의 순이었습니다.
연료 종류별 부적합률은 액화석유가스(LPG) 차량이 24.03%로 가장 높았습니다.
경유(23.58%), 휘발유(19.78%), 압축천연가스(CNG·12.76%), 무동력(12.73%), 하이브리드(10.86%), 전기(8.3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차령에 따른 부적합률은 차령 4년 이하 9.63%, 5∼6년 13.76%, 8∼9년 20.45%, 11∼12년 29.7%, 14년 초과 33.2% 등으로 나타나 차령이 높아질수록 부적합률이 증가했습니다.
공단은 지난해 자동차 검사를 통해 부적합 사항을 시정한 데 따라 연간 4만 4천976건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사망자를 92명 줄이는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검사를 303번 할 때마다 사고가 1건 줄어든 셈입니다.
이는 교통안전 측면에서 약 5천914억 원에 달하는 경제적 가치가 있다고 공단은 설명했습니다.
또 환경적 측면에서는 일산화탄소 1만 1천127t, 탄화수소 1천970t, 질소산화물 1천59t 및 미세먼지(PM) 2천410t 저감 효과를 거두며 1조 2천536억 원의 가치를 낸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40년생 나무 6천751만 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것과 맞먹습니다.
정용식 공단 이사장은 "국민 기대에 맞는 자동차 검사 품질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안전관리 분야에서도 국제 경쟁력을 갖추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자동차 검사 결과 분석자료와 관련된 자세한 통계는 이달 중순부터 국가데이터처 국가통계포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한국교통안전공단 제공,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