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적이는 서울대병원
지난해 서울 시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 10명 중 4명 이상은 서울 밖 타지역 환자였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24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연보'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서울 소재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사람은 모두 1천503만여 명으로, 이중 623만 5천 명, 41.5%가량이 타지역 환자였습니다.
타지 환자들이 서울 의료기관에서 쓴 진료비는 10조 8천55억 원에 달합니다.
서울 의료기관의 타지 환자 유입 비율은 2014년 36.3% 수준에서 꾸준히 상승해 2022년 이후에는 줄곧 40%대를 웃돌고 있습니다.
지난해의 경우 2월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하면서 전공의 의존도가 큰 대형병원들을 중심으로 의료 공백이 발생했음에도 환자들의 서울 쏠림은 계속된 셈입니다.
서울행 원정진료가 끊이지 않는 것은 의료기관과 인력의 서울 편중이 쉽게 완화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서울시민의 비율은 18.2%지만, 전체 의료기관과 의사 수에서 서울이 차지하는 비율은 이보다 큽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병·의원과 약국, 보건소 등을 포함한 전체 요양기관은 10만 3천803곳으로, 이 가운데 2만 4천887곳인 24.1%가 서울에 있었습니다.
특히 상급종합병원은 전체 47곳 중 14곳, 29.8%가 서울에 있습니다.
또 전체 의사 10만 9천274명의 28.1%인 3만 689명, 전체 간호사 28만 2천712명의 23.1%인 6만 5천393명이 서울에서 근무 중인 걸로 나타났습니다.
(사진=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