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엔비디아, 한국에 GPU 26만 장 푼다…삼성·SK·현대와 'AI 동맹'

엔비디아, 한국에 GPU 26만 장 푼다…삼성·SK·현대와 'AI 동맹'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접견에 앞서 국내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엔비디아가 우리 정부와 국내 기업들에게 최대 14조 원에 달하는 총 26만 장의 그래픽처리장치, GPU를 공급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GPU를 한국이 우선으로 받는 동시에 엔비디아의 'AI 인프라 생태계'에 참여함으로써 한국의 주권형 AI 구축이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엔비디아는 우선 우리 정부에 최대 5만 개의 GPU를 공급하고, 정부는 기업과 산업의 AI 개발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 삼성과 SK그룹, 현대차그룹은 각각 최대 5만 개의 GPU를,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 개의 GPU를 도입합니다.

엔비디아 측은 "한국의 전체 AI GPU 수량은 6만 5천 개에서 30만 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이로써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AI 리더가 될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최근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들을 중심으로 GPU 수요가 공급을 넘어선 데다, 국내에 들여올 GPU의 물량이 상당한 만큼 최종 공급까지 소요시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한국 정부와 기업이 우선 GPU를 할당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이번에 공급되는 GPU는 최신 'GB200 그레이스 블랙웰'로, 'RTX 6000 시리즈'도 일부 혼합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업계 추산으로 GB200의 가격이 대략 3만∼4만 달러라는 점을 고려하면 총 공급 규모는 10조∼14조 원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협력은 단순 '하드웨어 딜'을 넘어 '플랫폼 동맹'이라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정부와 4개 기업은 GPU뿐 아니라 엔비디아의 여러 플랫폼을 활용해 'AI 팩토리' 구축에 나섭니다.

AI 팩토리는 엔비디아가 내세운 개념으로, 일반적인 데이터센터와 달리 지능을 생산하는 장소를 뜻합니다.

과거 전기가 산업혁명을 움직였다면, 오늘날은 AI 팩토리가 새로운 산업혁명을 일으킬 것이라는 게 엔비디아의 생각입니다.

앞서 단순 칩 제조회사가 아닌 AI 인프라 기업으로의 진화를 선언한 엔비디아가 각국의 소버린 AI 구축을 지원하고 있어, 이 같은 협력으로 한국의 소버린 AI 구축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엔비디아가 한국을 AI 인프라 구축의 핵심 거점으로 낙점한 데는 반도체·제조·통신·게임·AI 스타트업 등 탄탄한 밸류체인과 AI 인프라를 실제 산업으로 전이시킬 수 있는 시장이라는 점이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는 오늘(31일) 오후 'APEC CEO 서밋' 특별 세션 무대에 올라 우리 정부, 기업들과의 대규모 협력 계획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