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태권도 남자 대표팀, 세계선수권 5연패…여자부는 노 골드 수모

태권도 남자 대표팀, 세계선수권 5연패…여자부는 노 골드 수모
▲ 공격하는 서은수(왼쪽)

한국 남자 태권도 대표팀이 2025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5연패를 달성했습니다.

반면 여자 대표팀은 3개 대회 연속 금메달 획득에 실패하며 체면을 구겼습니다.

한국은 오늘(30일) 중국 장쑤성 우시의 타이후 인터내셔널 엑스포 센터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남자 74㎏급에 출전한 강재권(삼성에스원)과 여자 53㎏급에 출전한 박혜진(고양시청)이 나란히 32강에서 탈락해 추가 메달에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남자 대표팀은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로 종합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남자 대표팀은 2017 무주 대회부터 종합 우승 트로피를 놓치지 않았습니다.

2년 주기로 열린 총 27차례 세계선수권대회에서 한국 남자 대표팀이 종합 우승을 놓친 건 2011년과 2015년(이상 이란) 대회 등 단 두 차례뿐입니다.

남자 대표팀은 이번 대회에서 남자 54㎏급 서은수(성문고), 남자 87㎏초과급 강상현(울산시체육회)이 금메달을 땄고, 남자 68㎏급 성유현(용인대)이 은메달, 남자 63㎏급 장준(한국가스공사)과 남자 80㎏급 서건우(한국체대)가 각각 동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반면 여자 대표팀은 여자 57㎏급에서 2024 파리 올림픽 우승자인 김유진(울산광역시체육회)이 은메달을 따는 데 그쳤습니다.

여자 대표팀은 2022년 과달라하라 대회(은메달 1개), 2023년 바쿠 대회(노메달)에 이어 3개 대회 연속 금메달 획득에 실패했습니다.

한국 여자 대표팀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따지 못한 건 최근 3개 대회뿐입니다.

이번 대회 전까지 총 19번의 세계선수권대회에서 16차례 종합 우승을 차지한 여자 대표팀은 우시 대회를 통해 자존심 회복을 노렸으나 아쉬움을 품고 귀국길에 오르게 됐습니다.

세계선수권대회를 마무리한 태권도 대표팀은 귀국해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 준비에 들어갑니다.

다음 세계선수권대회는 2027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립니다.

(사진=세계태권도연맹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