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한 해 동안 소득이 늘어 계층(소득분위)이 상승한 국민은 10명 중 2명 선에 그친 걸로 나타났습니다.
고소득자와 저소득자의 지위 유지율이 여전히 높아 소득 격차로 인한 계층 이동이 여전히 어려운 경향도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가데이터처는 오늘(27일) '2023년 소득이동 통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통계에서 '소득'은 개인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합으로, 가구소득이나 재산·이전소득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소득 하위 분위에 속하더라도 가구 전체 소득이 높거나 다른 형태의 소득이 많을 수 있어, 단순히 빈곤층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국가데이터처는 설명했습니다.
2023년 소득분위 이동성은 34.1%로, 전년보다 0.8%p 하락했습니다.
나머지 65.9%는 전년과 같은 분위에 머물렀습니다.
소득이동성은 2019→2020년 35.8%, 2020→2021년 35.0%, 2021→2022년 34.9% 등 3년 연속 하락셉니다.
그만큼 사회 전체의 이동성이 줄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전반적인 경기 둔화와 함께, 이동성이 낮은 노년층 비중이 전년 대비 늘고(0.8%포인트(p)), 이동성이 높은 청년층 비중이 줄어든(-0.8%p)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3년 소득분위 이동자 중 계층이 상승한 사람은 17.3%, 하락한 사람은 16.8%로 상향 이동이 소폭 많았습니다.
다만 상·하향 이동 모두 전년보다 줄어 2017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하향 이동(-0.5%p) 감소 폭이 상향 이동(-0.3%p)보다 커, 소득 하락의 방어망은 비교적 견고해졌다는 게 국가데이터처의 분석입니다.
최바울 국가데이터처 경제사회통계연구실장은 "국제 비교 기준은 없지만, 소득 이동성이 40∼50% 이상이면 사회가 불안정한 상태로 해석될 수 있다"며 "현재의 30%대 수준은 비교적 안정적 범위로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