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여당 법사위 "대법 3차 국감 여부 논의 중…답변·자료 제출 잘해야"

여당 법사위 "대법 3차 국감 여부 논의 중…답변·자료 제출 잘해야"
▲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무소속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25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 기자간담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법사위의 대법원 3차 국정감사 추진 여부를 내부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민주당과 친여 성향의 조국혁신당, 무소속 의원들은 오늘(22일) 국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민주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대법원에 대해 두 차례 국감을 한 뒤 세 번째 국감을 할지는 아직 내부 논의 중"이라면서 "또한 세 번째 국감이 (진행된다면) 현장 국감이 되어야 할지에 대해서도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간담회에 동석한 같은 당 서영교 의원은 "대법원이 답변을 잘해야 한다. 자료도 잘 내고"라고 부연했습니다.

이들 법사위원은 간담회에서 "이번 국감을 통해 '사법 쿠데타'의 진상이 밝혀졌다"며 조희대 대법원장에 대한 자진 사퇴를 압박하기도 했습니다.

전현희 의원은 "지난 10일부터 형사재판에서 전자기록이 합법화됐는데, 대법원이 이재명 대통령 사건과 관련해 종이 기록을 복사도 안 했고 읽지도 않은 것이 사실로 밝혀졌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전자기록을 읽었다고 주장한 대법원장은 대법원 스스로 불법을 자행했다는 것을 인정한 꼴"이라며 "조 대법원장은 계엄 당일 긴급회의를 연 것을 포함해 스스로 거취를 결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이번 국감 최대 정쟁 무대로 꼽힌 법사위의 파행 운영의 원인이 국민의힘에 있다고 화살을 돌렸습니다.

민주당 이성윤 의원은 "국민의힘은 국감 과정에서 계엄 동조 행위가 드러나거나, 윤석열·김건희 관련 의혹 실체가 밝혀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감사 방해 행위를 해왔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법사위는 이번 국감 종료 후 다음 달부터 '법 왜곡 죄'(형법 개정안) 등의 입법 처리 수순을 밟습니다.

정청래 대표는 오늘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법사위 1소위에 '법 왜곡죄'가 계류 중이다. 법사위는 이를 빠른 시간 내 처리해 달라"며 "국감이 끝나고 법사위에서 개혁법안을 처리해야 하는 순간에 추미애 법사위원장과 법사위원들이 용기 있게 활동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법 왜곡죄는 검사와 사법경찰관 등이 수사·공소·공소유지·형 집행 과정에서 범죄 혐의를 발견하고도 수사를 하지 않을 때, 범죄 사실이 인정됨에도 기소하지 않을 때 처벌할 수 있는 규정을 담은 법안을 말합니다.

(사진=연합뉴스)
NAVER에서 SBS NEWS를 구독해주세요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