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미 전문가들 "APEC계기 트럼프-김정은 만남, 배제할 수 없어"

미 전문가들 "APEC계기 트럼프-김정은 만남, 배제할 수 없어"
▲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 앤드루 여 한국석좌가 21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해당 연구소에서 열린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을 방문할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동 성사 가능성을 아직 배제할 수 없다고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이 관측했습니다.

미국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시드니 사일러 선임고문은 현지시간 21일, 이 연구소의 팟캐스트 대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때 김 위원장과의 회동이 이뤄질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안녕하세요, 다시 보니 좋군요"라고 인사하는 수준이라면 "가능하다고 본다"고 답했습니다.

사일러 고문은 "만약 그것(회동)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그 이유는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입장과 우리(미국)의 입장이 정반대이기 때문은 아닐 것"이라며 "일회성 만남을 위해서라면 목표로서 비핵화에 대한 차이는 극복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빅터 차 CSIS 한국석좌는 "요즘 미국이 처리해야 할 일들을 고려할 때, 짧은 만남일지라도 큰 틀에서는 꼭 나쁜 일은 아니다"라며 "일종의 상황 파악, 접촉 유지 차원"에서 둘의 약식 만남이 가능하다고 관측했습니다.

차 석좌는 "트럼프가 워싱턴 DC에서 '(북한) 비핵화는 우리의 목표이자 정책'이라고 말하고, 판문점에 가서는 '김정은은 핵무기를 가졌다'고 말하는 것이 전혀 상상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미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의 앤드루 여 한국석좌는 "(1박 2일 머무르는)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 때문에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본다"면서도 "약간의 가능성은 있다. 어쨌든 트럼프니까"라고 말했습니다.

여 석좌는 워싱턴 DC에서 열린 브루킹스연구소의 APEC 관련 언론 조찬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APEC을 계기로 만나지 않을 거 같다"면서도 "회동(가능성)은 회의적이지만,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김정은 회동 관련 한국의 역할에 대해선 "이재명 대통령은 할 수 있다면 성사시키려 할 것"이라면서도 "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의미 있는 존재로 인식되려면 트럼프 대통령을 거치거나 미국이 중재 역할을 해야 한다. 2018년 문재인 정부가 트럼프와 김정은을 연결해 준 것과는 반대가 됐다"고 짚었습니다.

APEC을 앞두고 긴박하게 진행 중인 한미 무역협상의 최대 관건으로 꼽히는 3천500억 달러 대미 투자와 관련해 여 석좌는 CSIS 팟캐스트 대담에서 "타이밍의 문제일 수 있다"며 "핵심 투자를 특정하고 합의를 만든 뒤, 항목별로 자금이 언제 들어올지에 대한 시간표를 두는" 방식을 예상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