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클릭> 마지막 검색어는 '사망 위험 커지는 주거 형태'입니다.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아파트 거주자보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최근 일본 도쿄 과학연구소가 고령층의 주거 형태가 생존율을 좌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6년간 노인 약 3만 9천 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임대 아파트나 자가 단독주택 거주자의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이 자가 아파트 거주자보다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실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분석인데요.
연구진은 "단독주택은 사방이 외부에 노출돼 실내 온도가 더 차갑고 불안정해지기 쉽다"며 "주택 단열을 개선하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특히 남성의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2018년 '주택 및 건강 지침'에서 "심근경색과 뇌졸중 같은 심혈관 질환은 추운 집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추운 집이 수명 깎는다니 충격" "이래서 나이 들면 아파트 살아야 하나 봄" "단열 개선된 고품질 주택이 답이라는 소리"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댓글 아이콘댓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