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의정부에 사는 직장인 A 씨는 지난 3월 부업으로 쇼핑몰 후기 작성 아르바이트를 시작했습니다.
돈을 보내 물건을 구입해 사용한 뒤 후기를 작성하면 물건값과 함께 보수를 받기로 해 수차례에 걸쳐 물건값 명목으로 많게는 수천만 원을 입금했는데, 환급해 주겠다는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피싱 범죄 피해자 : 막 울면서도 통화를 하고 그랬어요. 원금만 회복해달라고 원금만 달라고 그렇게 얘기를 했는데.]
캄보디아에 머물며 한국인을 상대로 한 피싱 범죄였습니다.
이들 가운데 한 명을 우리 검찰이 지난 9월 구속기소했지만,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하면서 피해자에게는 고통만 남았습니다.
[피싱 범죄 피해자 : 그분들이 저지른 일로 인해서 국내에 있는 피해자가 더 많잖아요. 정말 죽고 싶고 지옥 같은 삶을 살고 계시는 분이 훨씬 많거든요.]
캄보디아 현지 교민 사회에서도 범죄에 가담한 한국인들에 대한 볼멘소리가 나옵니다.
[캄보디아 교민 : 교민들이 하는 사업에 지금 지장이 생기고 있죠. 한국 물품을 안 쓴다, 한국 사람들도 캄보디아에서 다 떠나라.]
감금 피해자들을 도왔다가 금전적 손해를 입는 경우도 있습니다.
[캄보디아 교민 : 비행기 표 값도 끊어주시고 그런 지원을 하는데. 그분이 한국 가고 몇 개월이 지나도 연락이 오지 않는 경우도 있고.]
물론, 범죄 조직에 속아 이른바 취업 사기를 당한 젊은 피해자들도 있습니다.
캄보디아에서 일하면 고수익을 보장해 주겠다는 구인 글을 믿고 현지에 갔다가 실제 피해로 이어진 겁니다.
[납치·감금 피해자 : 차를 타자마자 바로 옆에 칼을 겨누고 목을 바로 조르고 기절을 시켰죠.]
[이윤호/동국대 경찰행정학과 명예교수 : 청년들은 지금 굉장히 간절함과 절박함에 빠져 있잖아요. 훨씬 더 공격하기가 쉽잖아요. (유인글들은) 모니터링해서 바로 내리게 하고 삭제하고.]
이번 사태 해결을 통해 국내로 돌아올 한국인들에 대한 엇갈린 시선은 당분간 계속될 수밖에 없을 걸로 보입니다.
(취재 : 임태우, 영상편집 : 소지혜,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자막뉴스] "피해자 맞아요?" 구조했더니 양팔 문신 '가득'…도왔다가 '뒤통수' 한국 교민 분통
입력 2025.10.19 1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