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로 인해 올해 전 세계 기업들이 추가 부담할 비용이 1조 2천억 달러, 약 1,700조 원 이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또 관세 비용 대부분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미 경제 매체 CNBC는 S&P 글로벌의 보고서를 인용해 현지시간 16일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관세와 무역장벽은 공급망에 세금으로 작용해 정부로 기업 자금이 흘러가고, 여기에 물류 지연과 운송비 상승이 기업 부담을 심화시킨다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5월 중국과 홍콩에서 들여오는 800달러 이하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중단한 것이 전환점이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이후 미국 정부는 모든 국가로부터 들어오는 소액 소포에 대해 8월 말 면세 혜택을 없앴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샌드버그는 "(관세) 면제 조치가 종료되자 해운 데이터, (기업) 실적 보고서 등에 충격파가 나타났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이른바 '해방의 날'이라며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습니다.
10%의 기본관세는 4월 5일 발효됐으며 국가별 상호관세는 시행 유예 후 미국과 각국 간 무역 협상을 거쳐 8월 7일부터 발효됐습니다.
자동차, 철강, 목재 등 품목별 관세도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은 수출업체들이 더 큰 부담을 지게 될 것이라고 주장해 왔지만 S&P 글로벌의 이번 분석에 따르면 보수적으로 추정했을 때 관세 비용의 약 3분의 1만 기업들이 감당하고 나머지는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으로 봤습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성명에서 관세로 인해 미국인들이 과도기를 겪을 수 있지만 결국 관세 비용은 외국 수출업체들이 부담하게 될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기업들 올해 '트럼프 관세' 비용 1천700조 원"
입력 2025.10.17 17:32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