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경찰, 캄보디아 '코리안데스크' 시아누크빌에 2명 추진

경찰, 캄보디아 '코리안데스크' 시아누크빌에 2명 추진
▲ 14일(현지시간)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있는 범죄 단지로 추정되는 건물 모습.

경찰이 캄보디아 내 범죄 단지가 밀집한 시아누크빌 지역에 '코리안데스크'(한인 사건 처리 전담 경찰관) 설치를 추진 중입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 오늘(16일)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캄보디아 지역 치안 대응 계획'에 따르면 경찰은 현지 파견 경찰관을 기존 3명(주재관 1명·협력관 2명)에서 8명으로 늘리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급증하는 납치·감금 사건 대응을 위해 최소 5명은 증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먼저 납치·감금이 빈발하는 시아누크빌에 코리안데스크를 설치, 경찰관 2명이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을 전담할 계획입니다.

코리안데스크는 대사관에서 근무하는 주재관이나 협력관과 달리 현지 경찰기관에서 근무하며 신속한 수사 공조를 할 수 있습니다.

경찰청은 "캄보디아 사건 대응에는 코리안데스크 형태가 가장 효과적"이라며 "신속히 협의해 가장 빠른 시일 내에 설치되도록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대사관에는 경찰주재관 1명, 협력관 2명 추가 투입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대사관에 파견돼 사건·사고를 담당하는 이들은 최근 업무량 폭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경찰협력관의 올해 1월∼8월 활동 현황을 보면 검거지원 110명, 송환지원 70명, 국제공조 자료 수집 및 사실확인 100건, 잠복·추적 등 3건 등을 1명이 도맡았습니다.

경찰주재관도 바쁘게 움직였습니다.

지난 8월에는 범죄단지 내 감금 피해자 14명, 통장 판매를 위해 범죄단지로 향하던 지적장애 피해자를 구출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경찰청이 올해 1월∼10월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을 통해 캄보디아에 납치·감금 사건 관련 공조를 요청한 사건은 3건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8월까지 들어온 감금 신고 330건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입니다.

감금 관리직을 하던 한국인의 캄보디아 내 체류 여부, 감금 피해자의 현지 병원 진료기록(손가락 절단)·경찰 신고이력 등 2건에 대해서는 회신이 이뤄졌습니다.

그러나 감금 피해자의 캄보디아 내 최종 접속 IP는 현재까지 미회신 상태입니다.

위성곤 의원은 "해외에서 발생하는 납치·감금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캄보디아 등 범죄 취약 지역에 코리안데스크를 신속하게 설치해야 한다"며 "아울러 경찰 외사과를 부활해 전문 인력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