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아동보호치료시설 10명 중 3명 경계선지능 또는 의심"

"아동보호치료시설 10명 중 3명 경계선지능 또는 의심"
▲ 아동보호치료시설 경계선지능아동 현황

아동보호치료시설에서 보호받고 있는 아동 10명 중 3명은 경계선 지능인으로 진단받았거나, 경계선 지능인으로 의심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가정외보호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체계 진단 및 내실화 방안 연구'에 따르면 전국 아동보호치료시설 12곳을 대상으로 보호 아동의 경계선 지능 진단 여부 등 전반적인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습니다.

경계선 지능인은 심리검사 결과 지능지수(IQ)가 71∼84로 지적장애(IQ 70 이하)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평균 지능에는 못 미쳐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입니다.

아동보호치료시설은 아동복지법에 따라 두 개 유형으로 나뉩니다.

가형은 경범죄 혹은 불량행위로 인해 소년법에 따라 처분을 받은 10세 이상 19세 미만의 아동을 치료와 선도하는 시설이고, 나형은 정서적·행동적 장애 또는 학대 피해로 인한 어려움이 있는 아동을 보호·치료하는 시설입니다.

12곳 중 8곳은 가형, 4곳은 나형이었습니다.

지난해 8월 말 기준 전국 아동보호치료시설 12곳에서 보호하는 아동 정원은 603명, 현원은 443명으로 정원 충족률은 73.47%였습니다.

성별로는 현원 기준 남성이 70.9%, 여성이 29.1%였습니다.

경계선 지능으로 진단받은 아동은 443명 중 76명(17.2%)이었고, 경계선 지능으로 의심되는 아동은 61명(13.8%)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들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아동보호치료시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각각 시설에 대한 관심과 지원 부족(33.3%), 종사자 수 부족(33.3%)이 꼽혔습니다.

(사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가정외보호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체계 진단 및 내실화 방안 연구' 보고서 갈무리,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