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최근 공개한 동영상 생성 인공지능(AI) 모델 '소라 2'가 생성하는 콘텐츠에 대해 미국영화협회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오픈AI는 지난달 30일 '소라 2'를 공개하면서 원 콘텐츠 저작자가 별도로 콘텐츠 사용 금지를 신청해야 하는 '옵트아웃'(opt-out)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저작권자가 오픈AI에 자신의 저작물이 영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직접 요청하도록 하는데, 협회는 오픈AI 정책을 따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현지 시간 7일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 등에 따르면 미 영화협회는 지난 6일 성명을 내고 "오픈AI의 '소라 2'가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데 이 용되고 있다"며 오픈AI에 "즉각적이고 단호한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오픈AI는 '소라 2' 공개 열흘 전부터 연예기획사와 스튜디오에 이런 옵트아웃 절차를 알리기 시작했으며, 위반 사례가 발견될 경우 신고할 수 있는 창구도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영화협회 최고경영자(CEO) 찰스 리브킨은 성명에서 "소라 2 출시 이후 오픈AI의 서비스와 소셜미디어(SNS) 전반에서 우리 회원사들의 영화, TV 프로그램, 캐릭터를 침해하는 영상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오픈AI CEO 샘 올트먼은 블로그에 "저작권자들에게 그들의 캐릭터 사용 방식에 대해 보다 '세밀한 통제권'을 부여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자신의 캐릭터를 절대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저작권자들이 AI 사용을 직접 설정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이 새로운 참여 방식이 그들에게 큰 가치를 가져다줄 것으로 생각한다"며 "자신의 캐릭터가 어떻게 사용될지 직접 지정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기대했습니다.
리브킨 CEO는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저작권 침해를 막을 책임은 저작권자가 아니라 오픈AI에 있다"며 "오래 확립된 저작권법은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며, 이번 사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라고 반박했습니다.
생성형 AI의 성장과 함께 저작권 문제는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할리우드 영화 스튜디오 디즈니와 유니버설은 AI 이미지 생성 업체 미드저니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들 스튜디오는 미드저니가 자사 영화의 캐릭터를 무단으로 AI 학습 및 생성에 사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디즈니는 또, 지난달 AI 스타트업 캐릭터.AI에 대해서도 "무단으로 저작권 캐릭터를 사용하는 행위를 중단하라"는 경고장을 발송한 바 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오픈AI '소라 2' 저작권 침해 논란…미 영화협회 "조치 취하라"
입력 2025.10.08 10:34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