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 되기 전에 갑자기 숨진 아기가 지난해 50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8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4년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영아 돌연사 증후군으로 숨진 아기는 47명으로 전체 영아 사망(출생 후 1년 이내 사망)의 8.3%를 차지했습니다.
전년보다 사망자 수가 2명 늘었고, 전체 영아 사망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0.3%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은 출생 전후기 질환(45.2%), 선천 기형과 염색체 이상(18.4%)에 이어 영아 사망 원인 3위로 집계됐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은 20.4명입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은 만 1세 미만 아기가 갑자기 숨졌지만 의학적으로 명확한 원인을 찾지 못한 경우를 말합니다.
대부분 수면 중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안전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면 돌연사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완벽한 예방은 어렵지만, 질식으로 추정되는 사고는 줄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기는 목을 가누지 못하고 호흡력이 약해, 푹신한 이불이 코를 덮거나 함께 자던 보호자의 몸이 눌리면 호흡이 막힐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에서는 1994년 '아기 똑바로 재우기' 캠페인이 시행된 뒤 영아 돌연사 발생률이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역시 영아 돌연사 예방을 위해 돌 이전 아기는 반드시 똑바로 눕혀서 재우고, 푹신한 침구류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합니다.
또, 아기를 부모와 같은 침대에서 재우지 말고, 아기가 뒤집기를 할 수 있게 되면 포대기(속싸개)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아기의 자세를 고정하는 베개 받침도 질식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경북대 의대 권정은 교수 연구팀이 대한소아응급의학회지에 발표한 '수면 관련 영아 돌연사 및 수면 환경 요인 분석' 논문에 따르면, 2013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수면 중 질식 또는 심정지로 경북대 어린이병원 응급실을 찾은 영아 12명은 모두 독립된 아기 침대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이 중 3명은 역류 방지 쿠션이나 소파에서 잠든 것으로 확인됐고, 12명 모두 바로 누운 자세로 잠들었지만 8명이 엎드린 자세나 침대와 벽 사이에 낀 채 발견됐습니다.
연구팀은 "수면 환경은 영아 돌연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푹신한 침대와 침구, 베개, 소파 등은 돌연사 위험을 높인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충돌 방지를 위한 유아용 쿠션 패드도 오히려 수면 중 질식 위험을 키울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작년 영아 돌연사 47명…"폭신한 침구류 사용 말아야"
입력 2025.10.08 09:39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