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중고생 학력 수준 '줄하락'…국어 '기초 미달' 10% 넘었다

중고생 학력 수준 '줄하락'…국어 '기초 미달' 10% 넘었다
▲ 전국연합학력평가 치르는 학생들

중고등학생의 학력 수준이 최근 5년간 전반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국어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률이 크게 늘면서 교육 당국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오늘(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2020∼2024년 시도별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에 따르면,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모두 국어·수학·영어 전 과목에서 '3수준(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약 3%를 표집해 국어, 수학, 영어 과목을 중심으로 실시합니다.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과 변화 추이를 분석하기 위해 매년 시행되며, 지난해 9월에는 전국 524개 학교에서 2만 7천606명의 중·고교생이 참여했습니다.

평가 결과는 4수준(우수학력), 3수준(보통학력), 2수준(기초학력), 1수준(기초학력 미달) 등 네 단계로 구분됩니다.

중학교 3학년의 경우 2020년 '3수준 이상' 비율은 국어 75.4%, 수학 57.7%, 영어 63.9%였지만, 2024년에는 국어 66.7%, 수학 48.6%, 영어 61.2%로 각각 8.7%포인트, 9.1%포인트, 2.7%포인트 떨어졌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2020년 국어 69.8%, 수학 60.8%, 영어 76.7%였던 '3수준 이상' 비율이 2024년에는 국어 54.2%, 수학 57.2%, 영어 72.4%로 각각 15.6%포인트, 3.6%포인트, 4.3%포인트 줄었습니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1수준)을 보면 국어 과목만 유독 상승했습니다.

중3의 국어 기초학력 미달률은 2020년 6.4%에서 2024년 10.1%로 3.7%포인트 늘었고, 고2는 6.8%에서 9.3%로 2.5%포인트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교육부의 기초학력 보장 예산은 올해 1천319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290억 원 줄었습니다.

진선미 의원은 "국어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률이 증가한 것은 다른 교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기초학력 보장 제도가 제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