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모닝와이드 2부

부지 한가운데 군사철도 관통…광명·시흥 신도시 삐걱?

부지 한가운데 군사철도 관통…광명·시흥 신도시 삐걱?
<앵커>

정부가 발표한 3기 신도시 가운데 광명과 시흥의 공공주택지구는 개발이 상당히 지체되고 있습니다. 부지 안의 군사철도를 없애는 문제가 4년째 해결되지 않고 있어서인데, 이런 일이 없도록 개발 계획을 수립할 때 미리 확인했어야 한단 지적이 나옵니다.

박찬범 기자입니다.

<기자>

[2021년 2월 24일, 8뉴스 : 광명·시흥 지역은 1천270만 제곱미터, 여의도 면적 4배가 넘는 규모로 7만 가구가 공급됩니다.]

지난 2021년, 문재인 정부는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를 3기 신도시의 하나로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해당 지구 부지에는 철도가 놓여 있습니다.

'3군지사선'으로 불리는 군사용입니다.

[전덕린/인근 마을 주민 : 군부대 쪽에서 탱크 같은 거 그런 장비를 싣고 나가고.]

[손길내/인근 마을 주민 : 기지창이 저 안에 구석에 있었어요. 한동안 열차가 엄청 다녔어요.]

이 철도 노선은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한가운데를 세로로 관통하고 있습니다.

노선의 길이만 6km가 넘습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 LH는 개발 효율성을 위해 철도를 없애자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방부는 전쟁 나면 꼭 필요한 시설이라며 '폐지 불가' 입장을 지난달 LH에 전달한 걸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국방부는 4년 전 국토교통부와 LH가 3기 신도시 계획을 내놓을 때, 국방부와는 사전 협의조차 안 했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올해부터 분양에 들어갈 계획이었지만,

[윤성원/당시 국토교통부 1차관 (21년 2월) : 23년에 사전 청약을 조기에 실시하고, 25년부터 순차적으로 분양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분양은커녕 토지 보상조차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강일/인근 마을 주민 : 보상 아직 시작도 안 했다고 보면 되는 거죠. 지적물 조사만 해갔지 협의를 우리랑 한 건 없어요.]

2027년 착공이 목표지만, 군사철도 문제가 언제 풀릴지 모릅니다.

[강대식/국회 국방위원회 (국민의힘) : 사업 지연과 예산 낭비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택지 개발 지구 계획을 수립할 때 군 시설 관련 상황을 사전에 확인하도록 제도 개선을 해야 합니다.]

LH는 "사업 차질이 없도록 국방부와 원만히 합의하겠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전민규)
NAVER에서 SBS NEWS를 구독해주세요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