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문 닫는 석탄공사, 하루 이자만 2억 4천만 원

문 닫는 석탄공사, 하루 이자만 2억 4천만 원
▲ 대한석탄공사 외경

최근 석탄 비축 업무를 한국광해광업공단에 넘기고 사실상 모든 업무를 종료한 대한석탄공사의 부채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이 국회예산정책처로부터 제출받은 '대한석탄공사 금융부채 및 정부 출자예산, 이자 비용'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석탄공사의 부채는 2조 4천41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부채에 따른 작년 이자 비용은 총 874억 원 규모로, 하루에 약 2억 4천만 원을 이자로 낸 셈입니다.

석탄공사의 금융 부채는 2020년 2조 495억 원에서 2021년 2조 2천47억 원, 2022년 2조 3천633억 원, 2023년 2조 4천580억 원 등으로 매년 불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이자 비용도 2020∼2024년 5년 동안 323억 원, 300억 원, 537억 원, 810억 원, 874억 원으로 최근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

현재 공사의 수입 사업은 전혀 없는 상태이고 공사의 자산은 2천38억 원에 불과해 자체 상환은 불가능한 실정입니다.

부채 해결을 위해서는 공사를 한국광해광업공단이나 한국에너지공단 등 관계기관에 넘기거나 정부가 예산·기금을 투입해 정리하는 방법밖에 없는 상황인 겁니다.

석탄공사는 부채 상환 방안 및 계획에 대한 질의에 "정부의 기능 조정 방침에 따라 단계적 폐광과 인력감축 등을 차질 없이 이행하여 부채 증가를 완화하고 있다"며 "강도 높은 재정 건전화 계획 수립 및 자구 노력 지속 추진으로 부채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석탄공사는 산업통상부, 기획재정부 등과 협의·회의 내역이 있는지에 대한 질의에는 "해당사항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1950년 설립된 석탄공사는 지난 6월 도계광업소 폐광을 마지막으로 2023년부터 시작된 조기 폐광 계획을 완료하고 현재 업무 정리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지난달 9일에는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하면서 석탄공사의 석탄 비축탄과 비축장 관리 업무도 한국광해광업공단으로 넘어갔습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 발간한 '2025 국정감사 공공기관 현황과 이슈' 보고서에서 석탄공사와 관련해 지난 6월 석탄 사업 종료 이후에도 원금 상환을 위한 예산 편성 등 구체적인 대응 방안이 여전히 미비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자 비용이 향후 국가 재정이 부담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