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주요 대학 연구실에서 사용 중인 무정전전원장치(UPS) 배터리에 대한 안전관리 실태조사와 현장점검을 실시한다고 3일 밝혔습니다.
최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계기로 실시하는 이번 실태조사는 이달 24일까지 전국 270여 개 대학 연구실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과기정통부는 각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UPS 배터리 종류(납축전지·리튬이온배터리 등)와 사용기간 경과 여부, 외관 손상 등 배터리 이상 유무를 자체 점검하고 그 결과를 제출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과기정통부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배터리 관리 실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기관이나 자체적으로 이상 배터리를 교체·조치하지 못한 기관을 중심으로 11월까지 현장점검을 추가 실시합니다.
현장점검에서는 UPS와 배터리의 관리 실태, 교체 주기 준수 여부, 보관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해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방침입니다.
홍순정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배터리는 연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관리가 소홀할 경우 화재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연구기관이 스스로 배터리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도록 하고, 안전한 연구환경 조성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