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이 4주째 상승폭 확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성동구, 마포구 등 이른바 '한강 벨트'의 오름폭 확대가 전체 상승세를 견인하는 양상으로, 추석 이후 정부가 이들 지역에 대한 규제지역 지정 등 수요 억제책을 추가로 꺼내들지에 관심이 쏠립니다.
오늘(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다섯째 주(9월29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7% 올라 0.08%포인트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은 6·27 대출규제 시행 이후 상승폭 축소 흐름을 이어가다 9월 둘째 주(9월8일 기준)부터 줄곧 확대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상승률은 9월1일 0.08%에서 9월8일 0.09%로 커진 데 이어 15일 0.12%, 22일 0.19%, 29일에는 0.27%를 기록하며 오름폭이 매주 커지는 모양새입니다.
이번 주에도 강북의 한강 벨트 대표 권역인 성동구·광진구·마포구의 상승폭 확대가 두드러졌습니다.
광진구의 주간 상승률은 0.65%로,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직전 주(0.35%) 대비로는 상승폭이 0.3%포인트 커졌습니다.
성동구(0.78%)도 직전 주와 비교해 오름폭이 0.19%포인트 확대됐고, 마포구(0.69%)도 상승률을 0.26%포인트 키우며 서울 전체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송파구(0.35%→0.49%), 강동구(0.31%→0.49%), 중구(0.27%→0.40%), 동대문구(0.15%→0.25%), 양천구(0.28%→0.39%), 동작구(0.20%→0.30%) 등을 비롯해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상승폭이 확대됐습니다.
부동산원은 "가격 상승 기대감이 있는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 역세권 등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거래가 포착되는 등 서울 전체적으로 가격이 상승했다"고 말했습니다.
수도권 전체로는 0.12% 올라 상승률이 직전 주 대비 0.05%포인트 확대됐습니다.
경기도(0.07%)는 오름폭이 0.03%포인트 커졌고 인천(0.00%)은 가격이 보합을 유지했습니다.
경기도에서는 성남시 분당구(0.97%)가 직전 주 대비 상승폭을 0.33%포인트 확대하며 높은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과천시(0.54%)도 같은 기간 오름폭이 0.31%포인트 커졌습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마포구, 성동구, 광진구 등이 규제지역으로 추가 지정될 가능성이 커지니 이번이 마지막 갭투자 기회라고 여긴 이들의 선취매수 수요가 일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며 "추석 이후에도 추가 규제가 없으면 오름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지방(-0.01%→0.00%) 매매가격은 보합으로 돌아섰습니다.
5대 광역시(-0.02%→-0.01%)는 하락폭이 소폭 축소됐고 8개 도(0.00%)는 보합을 유지했습니다.
전국 평균 매매가격은 0.06% 올라 직전 주(0.03%) 대비 상승폭이 0.03%포인트 확대됐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직전 주 대비 0.06% 오르며 상승폭이 0.02%포인트 커졌습니다.
서울(0.09%→0.12%)은 대단지, 역세권 등 선호 단지 위주로 매물 부족이 이어지며 전체적으로 가격이 올랐습니다.
인천(0.04%)은 상승률이 직전 주와 동일했고 경기도(0.05%→0.06%)는 상승폭이 소폭 확대됐습니다.
수도권 전체로는 0.08% 상승했고, 지방은 0.03% 올랐습니다.
한편 부동산원은 내주에는 추석 연휴가 이어지고 정기 발표일인 목요일(9일)도 공휴일인 점 등을 고려해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발표하지 않습니다.
16일에 2주간 누적치를 공표할 예정입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4주째 확대…광진구 역대 최고 상승률
입력 2025.10.02 14:23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