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국정자원 등 4곳 압색…"복구 더뎌" 민간 인력 총동원

국정자원 등 4곳 압색…"복구 더뎌" 민간 인력 총동원
<앵커>

경찰이 오늘(2일) 오전 국가 정보자원 관리원 본원과 협력업체 등 4곳을 압수수색했습니다. 정부는 시스템 복구 속도가 더디게 진행되자, 민간 전문 인력까지 총동원해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최승훈 기자입니다.

<기자>

경찰이 오늘 오전 9시부터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과 관련 업체 3곳 등 4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앞서 경찰은 국정자원 관계자 1명과 배터리 이전 공사업체 2명, 작업 감리업체 1명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습니다.

현장 감식 결과와 참고인 조사를 바탕으로 이들 4명이 불이 난 원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계약과 작업에 관련한 서류를 확보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달 26일 국정자원 5층 전산실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난 불로 마비된 국가 전산시스템 647개는 오늘 오전 10시 기준 112개가 다시 가동돼 전체 복구율은 17.3%입니다.

소방청 '119안전신고'와 '국가기록포털'이 복구됐고, '국민신문고'의 공백을 보완하기 위해 과거에 썼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해 지자체별로 민원상담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현재의 복구 속도가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윤호중/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기위해서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하는 조치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전문인력 4명을 복구 현장에 파견했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도 전문인력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복구를 앞당기기 위해 전국 전문 청소업체를 최대한 투입하고 서버에 쌓인 분진을 오는 5일까지 제거하기로 했습니다.

화재로 녹아내린 전원 장치도 오는 11일까지 복구를 마치겠다는 계획입니다.

불에 탄 96개 시스템이 이관될 대구센터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 인력을 추가로 투입할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 최혜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