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이 대통령, '외압 폭로' 박정훈 대령에 훈장…"충성 다할 것"

이 대통령, '외압 폭로' 박정훈 대령에 훈장…"충성 다할 것"
▲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충남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열린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서 박정훈 해병 대령에게 훈장을 수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 맞은 오늘(1일) 국군의 날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3군(軍) 지휘부가 위치한 충남 계룡대를 찾았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곳에서 국민에게 신뢰받는 군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검은 양복에 회색과 녹색이 섞인 넥타이를 맨 이 대통령은 6·25 전쟁에 간호장교로 참전한 95세 이종선 씨와 해군 UDT 하사로 전역한 산악인 엄홍길 씨 등 국민대표 7명과 동반 입장했습니다.

곽기호 국방인공지능기술연구원장, 11명의 군 복무자를 배출해 병역 명문가로 대통령 표창을 받은 이상문 씨, 아들 3명을 육·해·공군 장교로 키운 박범진·나선림 부부, 항일의병 임병찬 선생의 후손인 19세 차세연 씨도 함께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흰색 군복을 입은 고령의 이종선 씨 손을 잡고 그의 보폭에 맞춰 천천히 걸어 들어온 뒤 이 씨를 단상 위 자신의 옆자리에 안내하며 예우했습니다.

다른 국민대표들도 단상에 이 대통령과 함께 자리해 행사를 지켜봤습니다.

단상 뒷벽에는 '국민과 함께하는 선진강군'이라는 문구가 크게 적혀있었습니다.

이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국군의 날 기념식에 국민대표들과 함께한 것은 군 통수권자로서 12·3 계엄 사태를 극복하고 '국민의 군대'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국민대표는 유공 여부와 사회 기여 등을 고려해 내부 심의를 통해 선정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충남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열린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서 열병차량에 탑승해 거수경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이어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함께 열병 차량에 올라 연병장을 한 바퀴 돌며 도열한 군을 사열했습니다.

국군 통합군악대, 육군, 해군, 육군·공군 의장대, 통합기수단, 해군·해병대 의장대, 공군, 해병대, 통합미래제대, 장비부대 등의 순서로 사열했습니다.

부대별로 사열할 때마다 이 대통령은 장병들에게 거수경례로 화답했고, 통합기수단을 사열할 때는 왼쪽 가슴에 손을 얹기도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어 '한국형 3축 체계' 핵심 전력기술이 적용된 무기 체계, 유·무인 복합 무기체계 등을 둘러봤습니다.

사열 후 이 대통령은 해병대 '채상병 사건' 당시 상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수사를 이어온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보국훈장 삼일장을 수여했습니다.

이 대통령이 훈장증을 건네고 가슴에 훈장을 달아주자 박 단장은 거수경례하며 "충성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기념사에 나선 이 대통령은 "우리 군이 민주공화국의 군이자 국민의 군대로 새롭게 태어나는 길에 적극 동참해 달라"며 "나라를 지키는 일은 곧 국민을 지키는 것이고, 군인 최고의 덕목이자 가치인 명예도 바로 국민 신뢰에서 나온다"고 국민과 함께하는 군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뜻을 거듭 피력했습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프롬프터를 쓰지 않고 흰색 A4 종이에 적힌 원고를 넘기며 연설하는 모습이 포착돼 눈길을 끌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이 연설 직전까지 원고를 직접 수정하는 편이고, 현장 상황에 따라 글자가 잘 보이지 않을 수도 있어 프롬프터보다는 종이 원고를 더 선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후 군의 태권도 시범, 소형 무장 헬기 조종 전술 시범,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의 비행 등을 지켜본 뒤 국민대표 및 군 관계자들과 오찬을 함께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NAVER에서 SBS NEWS를 구독해주세요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