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이 조지아주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미국에 투자하는 한국 기업들의 비자 문제 관련 전담 창구를 열기로 합의했습니다.
외교부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양국 정부 간 상용 방문과 비자 워킹그룹 첫 회의 결과 이 같은 합의를 도출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담 데스크는 10월 중 가동할 예정으로, 상세 내용은 미국 측이 주한미대사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지하기로 했습니다.
이날 회의는 정기홍 재외국민 보호 및 영사 담당 정부대표와, 케빈 김 국무부 동아태국 고위 관리가 양측 수석대표로 참여해 열렸습니다.
한국 측에선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 미국 측에선 국토안보부와 상무부, 노동부 당국자도 함께 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미국 측은 단기상용 비자인 B-1 비자로 해외 구매 장비 설치, 점검, 보수 등 활동이 가능하다는 점을 재확인했고, 무비자 전자여행허가, ESTA로도 B-1 비자 소지자와 같은 활동이 가능하다는 점도 확인했습니다.
조지아 사태 당시 체포된 한국인 대다수가 ESTA 또는 B1,B2를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사 사태를 막겠다는 미 측의 의지로 풀이됩니다.
한국은 한국 기업이 대미 투자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추가로 미국에 투자하기 위해 이번에 발표된 개선 조치 이상의 근본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요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 측은 쉽지 않은 과제라면서도, 가능한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고 외교부는 밝혔습니다.
(취재: 정혜경 / 영상편집: 김수영 / 디자인: 이수민 /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자막뉴스] "조지아 사태 재발 막자" 한국 비자 전담 데스크 설치 합의
입력 2025.10.01 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