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무협 "관세 영향 대미 수출 줄었지만 글로벌 수출은 증가"

무협 "관세 영향 대미 수출 줄었지만 글로벌 수출은 증가"
▲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미국의 수입이 크게 둔화했음에도 글로벌 수출은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무역협회는 '미 관세 정책 이후 세계 수출 물동량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이 4월 상호관세 등 관세 정책을 본격적으로 펴기 시작하고 나서 미국의 수입은 눈에 띄게 둔화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대세계 수입은 올해 1∼3월 24.6%, 18.4%, 31.6%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4월 상호관세 정책이 구체화하고 전 세계를 대상을 10%의 '보편 관세'가 붙기 시작하면서부터 증가율이 2% 미만으로 뚝 떨어졌습니다.

관세가 미국의 수입 둔화로 이어지는 이 같은 경향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품목별 관세가 붙은 자동차(4월 3일), 자동차 부품(5월 3일), 철강·알루미늄(3월 12일)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무역협회가 4월 이후 중국, 캐나다, 멕시코, 독일, 일본, 대만, 베트남, 한국 등 8개 국가·지역의 무역량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수입 둔화 흐름과는 달리 글로벌 수출 물량은 오히려 증가세가 확대되는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무역협회는 이 같은 현상을 두고 미국의 관세 현실화로 주로 미국 외 지역으로 수출 물동량이 상대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상호관세와 자동차, 철강 등 미국의 관세 조치 발표를 전후로 한 교역량 변화 흐름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 1주일에는 세계 물동량이 25.9% 증가하지만 관세가 시행되고 난 뒤 1주일 동안에는 20.8% 감소하는 등 미국의 정책이 물동량의 일시적 등락을 촉발하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무역협회는 이 같은 물동량 변화가 예고된 미국의 관세를 회피하고자 하는 밀어내기식 수출에 따른 결과로 보면서 향후 반도체·의약품 대상 관세가 현실화할 경우 단기적으로 이들 품목의 수출 선수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습니다.

무역협회는 이런 가능성과 관련해 "완충 재고를 운용하고, 환율·운임 급등에 대비해 보험·헤지 등 리스크 관리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정부도 관세 동향 상시 모니터링 및 핵심 정보의 신속한 제공을 통해 기업의 선제 대응을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