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모닝와이드 2부

적정 노후 생활비 묻자 '350만 원'…현실은 달랐다 [친절한 경제]

적정 노후 생활비 묻자 350만 원…현실은 달랐다 [친절한 경제]
<앵커>

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우리 국민들이 노후 생활비는 얼마 정도 필요하다고 느끼는지 설문조사한 결과가 나왔다면서요?

<기자>

국민들이 생각하는 노후 적정 생활비는 350만 원인데요.

'이 정도가 있어야 여유 있게 산다' 이렇게 생각하는 건데, 그런데 실제 준비한 생활비는 230만 원으로 무려 120만 원이나 부족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월 기준으로 보면 감이 잘 안 오시죠.

연 단위로 한번 보면, 1년에 1천400만 원 넘게 모자라는 거고, 10년이면 1억 4천만 원 모자라는 겁니다.

노후 자금에서 이 정도나 구멍이 나 있다, 이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최소 생활비도 따로 물어봤습니다.

정말 밥 먹고, 집세 내고, 기본만 하는 수준이 248만 원으로 잡혔는데요.

준비된 게 230만 원이니까 18만 원이 빕니다.

한 달에 18만 원 별거 아닌 것 같잖아요.

하지만 1년이면 200만 원이 넘고요, 이게 20년, 30년 누적되면 수천만 원 차이가 납니다.

여기에 노후에는 병원비가 늘어나죠.

60세 이후 평균 의료비는 젊을 때보다 3배에 육박합니다.

그러니 노후에 최소 생활비조차 맞추지 못하게 되면 늘어나는 의료비는 더 감당하기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실제로 마련해 놓은 노후 생활비는 원하는 만큼이 안 된다는 건데 이런 은퇴 시기와도 관련이 있을 것 같아요?

<기자>

이 나이에 은퇴하고 싶다 하는 희망 은퇴 시기가 65세인데요. 

실제로는 실제 은퇴하는 시기는 56세로 9년이나 빨라집니다.

노후 준비를 시작한 나이는 평균 48세였는데요.

56세에 은퇴한다고 치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은 고작 8년밖에 안 되는 겁니다.

8년 동안 돈을 모아놓고 그 돈으로 20년, 30년, 이제는 100세 시대죠.

길게는 40년 넘게 살아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생활비 마련 방법으로는 국민연금이 가장 많았습니다.

응답자의 거의 90%가 "연금으로 충당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외에도 금융소득, 개인연금, 퇴직연금을 꼽기도 했지만, 국민연금보다 비중이 훨씬 낮았습니다.

한국 가계 자산의 75%에 이르는 부동산을 활용한 노후 자금 준비에 대해서는 여전히 소극적이었습니다.

주택연금을 알고 있는 사람은 90%가 넘었지만, 실제로 가입하겠다는 사람은 3명 중 1명뿐이었습니다.

아직도 "집은 자식에게 물려줘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또, 절반 이상이 집을 팔고 작은 집으로 옮기는 다운사이징 전략을 고려하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70대 이후에나 하겠다"고 했습니다.

정작 필요할 때는 실행이 미뤄지는 겁니다.

노후 거주 조건으로는 의료시설 접근성이 가장 많이 꼽혔습니다.

교통이나 공원, 편의시설도 중요했지만, 결국 나이 들어 가장 신경 쓰는 건 건강이라는 소리입니다.

그래서 응답자의 80% 이상이 "지금 사는 동네에서 계속 살고 싶다"고 답했습니다.

익숙한 생활권, 병원 가까운 게 제일 중요하다는 겁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요새 추석 상여금 주겠다는 회사가 예전만큼 많지 않은 모양이네요.

<기자>

조사에 따르면 기업 10곳 중 4곳은 아예 상여금을 줄 계획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선물로 대체해서, 규정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경영이 어렵다는 것도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상여금 준다는 기업도 금액은 많지 않습니다.

평균 지급액이 62만 8천 원에 그쳤는데요.

직장인들이 기대하는 상여금이 100만 원 안팎인 것과 비교하면 많이 모자라죠.

규모별로 차이도 있어서요, 100인 미만은 59만 원, 300인 이상은 105만 원으로 100인 미만보다 1.8배 더 많았습니다.

추석 선물을 지급하는 기업은 72%로 더 많았는데요.

1인당 선물 예산은 평균 7만 4천 원으로, 증정하는 선물 종류는 햄이나 참치 캔 같은 가공식품이 가장 많았고, 과일류, 육류, 건강보조식품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명절 상여금은 단순한 돈 문제가 아닙니다.

직원들 입장에서는 "회사가 우리를 챙겨준다"는 시그널이 되면서 만족도와 충성도가 높아지잖아요.

그런데 이게 빠지면 직접적으로 지갑이 얇아지는 걸 넘어서 체감 경기가 훨씬 더 나빠졌다고 느끼게 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