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지난해 1천449건의 장애인 학대가 발생했고, 피해자 10명 중 7명은 발달장애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 인식 개선으로 학대 신고가 지속해서 증가하는 가운데, 장애인 본인이 신고하는 사례도 15% 넘게 늘었습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오늘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4 장애인 학대 현황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지난해 전국 장애인권익옹호기관에 접수된 전체 장애인 학대 신고는 6천31건으로 전년 대비 9.7% 증가했습니다.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이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신고 의무자의 신고는 797건(26.3%), 비신고 의무자의 신고는 2천236건(73.7%)입니다.
장애인 당사자의 권리 의식이 향상하면서 본인 신고가 2023년 530건에서 지난해 612건으로 15.5% 늘었는데 지적장애인의 본인 신고 건수가 266건에서 322건으로 21.1% 증가했습니다.
전체 신고 중 학대 의심 사례는 3천33건이었고, 이 중 47.8% 상당인 1천449건이 학대로 판정됐습니다.
학대로 판정된 건수는 2023년 대비 31건(2.2%) 증가했습니다.
학대 피해자의 장애 유형은 지적·자폐성 장애 등 발달장애인이 71.1%(1천30건)로 가장 많았습니다.
연령대는 30대 이하인 아동·청소년·청년 비율이 63.5%였습니다.
10대 이하 330건(22.8%), 20대 328건(22.6%), 30대 262건(18.1%) 순입니다.
학대 행위자는 지인 328건(22.6%),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28건(15.7%), 피해 장애인의 아버지 150건(10.4%) 순이었습니다.
학대 유형은 신체적 학대가 33.6%(692건)였고, 정서적 학대 26.5%(547건), 경제적 착취 18.6%(384건) 순이었습니다.
전체 학대 사례 중 31.7%(460건)는 중복학대 피해였습니다.
재학대 피해는 13.0%(189건)로, 5년 전인 2020년 49건 대비 약 3.9배 규모로 증가했습니다.
18세 미만 장애 아동에 대한 학대는 전체 사례의 18.6%(270건)였고, 장애 아동에 대한 학대 행위자는 부모가 39.6%(107건)로 가장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