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마포·광진·송파·강동·용산구 등 이른바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2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넷째 주(2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19%로, 직전 주(0.12%) 대비 0.07%포인트(p) 커졌습니다.
이달 들어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은 3주째(0.08%→0.09%→0.12%→0.19%) 확대 흐름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한강벨트 지역의 오름 폭이 확대되며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를 주도하는 양상입니다.
서울 25개 구의 아파트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성동구(0.59%)의 오름폭이 가장 컸습니다.
이어 마포구(0.43%), 광진·송파구(각 0.35%), 강동구(0.31%), 용산구(0.28%) 등의 순이었습니다.
서울 22개 구에서 직전 주 대비 오름 폭을 확대했으며 강동구(0.14→0.31%), 용산구(0.12→0.28%), 동작구(0.10→0.20%), 은평구(0.00→0.09%), 강북구(0.01→0.03%), 금천구(0.01→0.02%)는 상승 폭이 두 배 이상으로 커졌습니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 단지 위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포착되면서 서울 전역의 아파트값이 상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한 서울 선호 지역의 가격 상승 추세가 계속될 경우 서울시나 국토교통부 차원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이나 부동산 수요 억제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17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강남권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에 대한 토허구역 지정을 내년 말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으나 마포구, 성동구 등 인근 선호 지역에 대한 추가 지정은 안건으로 논의하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지난 9·7 부동산 공급 대책을 통해 국토부 장관의 토허구역 지정 권한을 확대하기 위해 관련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입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초과·투기 수요를 통제해야 한다고 강조한 만큼, 규제지역 추가 지정 카드가 언제 등장할지 관심이 쏠립니다.
수도권 전체의 아파트값 오름 폭도 0.04%에서 0.07%로 직전 주 대비 0.03%포인트 커졌습니다.
같은 기간 인천은 보합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상승률이 0.01%에서 0.03%로 올랐습니다.
지방의 하락 폭은 직전 주(-0.01%)와 동일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03%로, 오름폭이 3주 연속 확대됐습니다.
아울러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직전 주(0.03%) 대비 0.01%포인트 상승한 0.04%를 나타냈습니다.
서울(0.09%)·경기(0.05%)·인천(0.04%)의 전셋값 상승률이 모두 직전 주보다 확대되며 수도권 전셋값 상승률이 한 주 새 0.04%에서 0.06%로 커졌습니다.
같은 기간 지방의 전셋값 상승률은 0.01%에서 0.03%로 확대됐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3주째 확대…'한강벨트' 중심으로 들썩
입력 2025.09.25 15:09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