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자막뉴스] 출근길 1시간 이상은 '외로움 증폭 장치'? "건강 우려"

[자막뉴스] 출근길 1시간 이상은 외로움 증폭 장치? "건강 우려"
출근길이 길수록 외로움에 시달릴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최백용 강북삼성병원 성균관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2023년 서울시 거주 직장인 2만 42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통근 시간과 외로움 사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통근 시간이 30분 이하인 그룹과 비교해 60분을 초과하는 그룹은 가족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낄 위험이 49%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타인관계에서의 외로움 위험도 36% 증가했습니다.

가장 두드러진 상관관계는, 차를 이용해 출근하는 직장인 그룹에서 나타났습니다.

60분을 초과해 운전하는 집단에서 외로움 위험이 크게 치솟았지만, 버스나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이나 도보, 자전거 출퇴근에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가 통근 시간이 개인의 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연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통근 시간을 줄이고 사회적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연구들은 외로움이 촉발한 우울증은 단순한 기분의 상태가 아니라, 정신질환은 물론 치매와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까지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 직장인의 평균 통근 시간은 58분으로, OECD 평균인 28분의 두 배에 이릅니다.

(취재: 정혜경 / 영상편집: 고수연 / 디자인: 이수민 /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