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미 전문직 비자 옥죄기에 각국 '유출 인재' 모시기

미 전문직 비자 옥죄기에 각국 '유출 인재' 모시기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문직 비자 수수료 인상 포고문에 서명하고 서명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을 위한 H-1B 비자 수수료를 큰 폭으로 올리자 각국 정부들이 이를 '인재 모셔오기'의 기회로 역이용하고 있다고 외신이 보도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이 파이낸셜타임스(FT)를 인용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H-1B 비자와 비슷한 자국 비자 수수료를 아예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 당국자는 "세계 5대 최고 대학에 다녔거나 권위 있는 상을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논의 중"이라며 "비용을 완전히 면제하는 구상을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방안은 트럼프 행정부의 수수료 인상 전부터 논의됐지만, 미국의 움직임이 영국의 계획에 '순풍'이 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로이터는 중국의 경우 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새로운 비자를 다음 달 1일부터 도입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비자 소지자는 취업 제안 및 연구직을 사전 확보하지 않고도 중국에 입국해 공부하고 일할 수 있습니다.

독일 디지털 산업계의 연합체인 비트콤 대표 베른하르트 로흐레더도 "미국의 새 정책은 독일과 유럽이 최고의 인재를 끌어들이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로이터는 미국의 비자 수수료 인상에 따른 한국 정부의 대응도 자세히 조명했습니다.

로이터는 대한상공회의소의 6월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 한국은 인구 1만 명당 AI 전문가 0.36명이 순유출됐다고 짚었습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AI 인재 유입·유출 순위 중 하위권에 해당합니다.

그러면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미국의 정책 변화를 활용해 해외 과학·공학자들을 유치할 방안을 찾도록 각 부처에 지시했다고 전했습니다.

로이터는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가 강경해지는 미국의 이민 정책을 유리하게 활용해 외국인 과학자와 공학자를 끌어들이고 자국 산업을 발전시키고 인재 유출의 흐름을 '유턴'시키려고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