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울시 마을버스 업체들이 환승할인 재정지원을 늘려줄 것을 요구하며 요구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내년 1월 1일부터 환승제도에서 탈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의 '대중교통 환승제' 참여 이후에 적자가 커져서,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최승훈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오늘(22일) 기자회견을 열고, '대중교통 환승통합 합의서'의 해지를 서울시에 통보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004년 서울시와 체결한 대중교통 환승 정책 협약을 해마다 자동 연장했지만, 내년부터는 더 참여하지 않고 환승 제도에서 빠지겠다는 겁니다.
탈퇴 이유로는 환승 구조가 손실을 키우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마을버스 요금은 1천200원인데, 승객 대부분이 버스나 지하철로 갈아타면서 건당 평균 600원만 정산받고 나머지 600원은 손실로 잡힌다고 말했습니다.
[김용승/서울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 20년 동안 환승객으로 인해 발생한 환승 손실금의 매년 평균 약 1천억 원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조합 측은 환승제 도입 전에는 요금 수입만으로도 정상 운영했다며 환승 손실을 보전받지 못하면서 손해가 커지는 모순이 굳어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서울시에는 운임 정산규정 개정, 환승손실 보전방식 신설, 물가·임금 인상률을 반영한 운송원가 현실화 등 3가지 요구안을 밝히면서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내년 1월 1일부터 환승제를 적용하지 않겠다고 예고했습니다.
만약 탈퇴가 현실화되면 마을버스와 지하철, 시내버스 사이 환승 할인은 중단되고, 마을버스를 탈 때에는 별도로 요금을 결제해야 합니다.
마을버스 조합은 비상대책위를 꾸려 서울시와의 협상에 나서는 한편, 환승제 탈퇴에 대비한 전용 교통카드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김한결, 영상편집 : 최혜영)
댓글 아이콘댓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