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소액결제' 사건 피의자 A 씨가 지난 18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에 출석하기 위해 경기도 수원영통경찰서 유치장에서 나오고 있다.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피의자로 경찰에 검거된 중국인이 인구 밀집 지역을 범행 대상으로 삼았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 사건 과정에서 범행의 핵심 장비인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을 차에 싣고 돌아다닌 혐의를 받는 중국동포 A(48) 씨는 "'아파트가 많이 있는 곳으로 가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 같은 지시하에 자신의 승합차에 펨토셀을 싣고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등에 있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돌아다녔다는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범행을 지시한 '윗선'이 누구인지는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경찰은 A 씨의 범행 기간 동선을 추적하면서 진술이 사실인지 대조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경찰은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경기 광명·부천·과천, 서울 금천·영등포, 인천 부평 일대에 국한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일어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난 데 대해서도 수사할 계획입니다.
앞서 지난 20일 KT가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기존에 알려진 지역 외에 서울 동작구, 서초구, 고양시 일산동구에서도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A 씨가 추가로 드러난 피해 지역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범행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경찰은 KT로부터 자료를 받는 대로 정확한 피해 내역을 산정하고, A 씨의 범행 지역과 일치하는지 살펴볼 방침입니다.
A 씨는 또 범행 동기와 관련 "생활이 어려워서 500만 원을 받는 대가로 범행에 가담했다"고 진술했습니다.
경찰은 A 씨 진술의 진위를 가리기 위해 계좌 등을 들여다볼 예정입니다.
경찰은 현재까지의 수사 내용을 종합할 때 A 씨에게 범행을 제안·지시한 상선 말고도 또 다른 '윗선'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고 수사해 나가고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 중인 사안이므로 자세한 말은 해줄 수 없다"고 했습니다.
한편 KT는 지난 11일 1차 발표에서 피해자 수를 278명으로 집계했다가, 18일 발표에서는 피해자 수를 362명으로 정정했습니다.
그런데 지난 20일 또다시 피해 규모가 더 큰 것으로 파악되면서 KT의 피해 현황 집계 및 기자회견 발표의 신뢰성에 관해 여러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