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여담야담] "윤석열 오빠" "추할 추"…법사위 또 '추나대전'에 난장판

[여담야담] "윤석열 오빠" "추할 추"…법사위 또 추나대전에 난장판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월~금 (14:00~16:00)
■ 진행 : 편상욱 앵커
■ 대담 : 서용주 전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박용찬 전 국민의힘 공보메시지단장
--------------------------------------------

● 

▷ 편상욱 / 앵커 : 이런 가운데 오늘 국회 상황도 좀 짚어보죠. 오늘 국회 법사위에서는 여야가 또 충돌했습니다. 건진법사 관봉권 띠지 분실 경위를 따지기 위한 청문회 자리였는데요. 정작 청문회는 오전에 시작도 못하고 파행했습니다. 먼저 법사위에서 벌어진 여야 공방 상황부터 보고 오겠습니다. 서용주 부대변인 이 법사위 오늘 또 추나 대전이었습니다. 좀처럼 지금 일이 안 돌아갈 것 같은데요. 어떻게 해결해야 합니까? 

▶ 서용주 / 전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 자꾸 추나대전, 추나대전을 하는데요. 원래 추미애 법사위원장이 있을 때 저런 모습이 연출되지는 않았던 것 같은데요. 나경원 의원이 오고 나서 바람 잘 날이 없습니다. 간사 선임 부분도 그렇고요. 간사 선임 이후에 부결을, 부결이 됐죠. 부결 붙여져서 그러고 나서 지금 현재 유인물을 가져왔는데 국회법상 위원장이 허락하지 않는 어떤 유인물이라든지 영상물이라든지 이런 건 들어올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저거를 떼어내라고 했는데 끝까지 안 떼냈는데 또 유인물도 참 이게 지혜롭지 못한 게 정치 상도가 있는 것인데 상대편에 앉아 있는 서영교 의원 이렇게 사진을 올려놨어요. 가짜 뉴스, 정치 공작 이러면서요. 그런데 상대 의원한테 아무리 말로는 싸워도 유인물을 붙여놓고 저런 식으로  주장하는 것은 저거는 도의가 아니죠. 여야 간의 입장이 달라서 싸울 수는 있어도 이름 그다음에 얼굴, 신상 이런 걸 가지고 공격하는 것은 저 위원회 안에서는 삼가야 하는데 나경원 의원이 저런 부분에 있어서는 굉장히 뭔가 본인의 정치력에 맞지 않는 수준 낮은 정치를 가지고 지금 본인을 돋보이게 하려고 하는 것 같은데요. 추미애 위원장한테는 그런 한 치의 틈도 없을 것 같아서 곧바로 퇴장 당한 거 아니겠습니까. 저는 그래서 저는 이런 유인물을 떼겠다는 조건으로 의사 진행 발언을 요구하는 5선 의원도 처음 봤고요. 그리고 가만히 앉아 있는 초선 의원들도 처음 봤다. 그런 말씀으로 이 법사위 파행이 참으로 국민들 보기에는 좋지 않았을 것 같다. 그런 말씀을 드립니다. 

▷ 편상욱 / 앵커 : 박용찬 단장님 일단 민주당에서는 유인물 철거도 하지 않고 또 회의를 방해하는 건 국회 선진화법 위반이다. 이렇게 주장을 하던데요.  

▶ 박용찬 / 전 국민의힘 공보메시지단장 : 우리가 이제 지금 법사위 상황, 법사위 사태는 좀 더 큰 틀에서 봐야 한다. 지금 유인물을 갖다가 붙이느냐 떼느냐 이런 부분은 굉장히 미시적인 부분이고 한번 생각을 해 보십시오. 국가나 정부 그리고 행정부 그리고 한 기업체 또 중소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조직체의 수장이 누구냐에 따라서 회사가 잘 돌아갈 수도 있고 나라가 평안할 수도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지금 법사위도 마찬가지죠. 지금 추미애 위원장 들어오고 난 이후에 하루도 바람 잘 날이, 바람 잘 날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 지금 법사위를 저 같은 법사위를 우리 국민이 언제까지 계속 쳐다봐야 하는 겁니까. 정말 추미애 위원장 무거운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 그리고 지금 많은 국민들이 묻고 있어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 추미애. 추미애 위원장이 지금 위원장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여당 더불어민주당의 간사 역할을 하고 있어요. 지금 법제사법위원회 여당 간사가 누구인지 아십니까. 대다수 국민이 모르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 역할을 하고 있는 게 아니라 민주당의 간사 역할을 하고 있으니 이 법제사법위원회가 제대로 돌아가겠습니까. 그래서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우리 추미애 위원장께서 좀 더 마음을  바꿔서 법사위를 원활하게 원만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석고대죄하는 마음으로 다시 심기일전했으면 좋겠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서용주 부 대변인이 오늘 추미애 위원장이 나경원 의원한테 그렇게 하면 윤석열 오빠한테 도움이 되냐. 이렇게 얘기를 하더라고요. 어떻게 오빠 동생 관계가  된 건가요? 나경원 의원, 윤석열 대통령? 

▶ 서용주 / 전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 대학 동문인데 이제 아마 위아래로 이렇게 서열상 보면 나경원 의원이 동생이 되고 윤석열 나이로서는 그렇죠. 아마 그런 얘기를 하는 것 같고 나경원 의원이 이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애정을 많이 보여줬잖아요. 간접 체포 저지에도 나섰고 면회도 갔었고요. 그래서 통화도 했었고 여러 가지로 나경원 의원이 보여준 게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어떤 그런 오빠 동생을 할 만큼의 친분감이 있는 거 아니냐 이런 것을 우회적으로 아마 추미애 위원장이 지켜간 것 같습니다. 사실상 송석준 의원도 저렇게 비아냥대면 안 되죠. 추미애 위원장이 조금 본인 보기에는 마땅치 않다 하더라도 가을 추 자가 아니라 추할 추 자 이런 식으로 하면 그게 서로 상대 동료 의원의 이름을 가지고 놀리는 것은 그 격에 맞지 않지 않습니까. 원래 오는 말이 고와야 가는 말이 곱죠. 저는 그런 의미에서 송석준 의원이나 나경원 의원 자체가 저런 대우를 부당하게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은 스스로를 한번 돌아보는 그런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는 측면을 제가 말씀드립니다.  

▷ 편상욱 / 앵커 : 박용찬 단장님 모든 게 지금 나경원 의원을 법사위의 야당 간사로 임명하지 않는 데서 출발되는 지금 분쟁이잖아요. 나경원 의원이 간사를 하지 말거나 아니면 추미애 법사위원장이 나경원 의원 간사를 시켜주거나 하면 다 해결되는 문제 아닙니까. 왜 그걸 해결을 못 합니까? 

▶ 박용찬 / 전 국민의힘 공보메시지단장 : 이게 저 우리 아이들 보기 창피해요. 정말 아무 문제도 아니고 지금까지 해오던 관행대로 하면 될 터인데 지금 나경원 의원의 법적인 상황을 문제 삼지 않습니까. 민주당은 어떻습니까. 박지원 의원, 서영교 의원. 전부 다 법적으로 지금 뭔가 문제가 있는 그런 상황인데 나경원 의원만 문제 삼는다? 그것도 한두 번이 아니지 않습니까. 지금 나경원 의원이 법제사법위원회 우리 국민의힘 간사를 지금 몇 수 한 줄 아십니까? 5수 했답니다. 5수. 다섯 번 거절한 거예요. 이런 상황을 언제까지 국민 앞에 계속 보여줘야 할 것인가. 아까 제가 말씀드린 대로 추미애 위원장께서는 더불어민주당의 간사가 아닌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이라는 본인의 역할에 충실하기를 바랍니다. 

▷ 편상욱 / 앵커 : 민주당은 지금 나경원 의원은 절대 야당 간사로 선임해 줄 수 없다. 이런 입장인 겁니까? 지난번에 정말 이례적으로 상임위에서 기표소 설치하고 투표하는 일까지 벌어졌고. 

▶ 서용주 / 전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 그렇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투표 결과 또 나경원 의원의 간사 선임안이 부결된 것 아니겠습니까. 

▶ 서용주 / 전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 그렇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그러면 일사부재리의 원칙으로 다시 상정도 못 하는 건가요? 

▶ 서용주 / 전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 정기회 동안에는 나경원 의원에 대한 간사 선임은 하지 못합니다. 사실 이게 보통 우리가 쉽게 설명하면  법대로 한 겁니다. 원래 간사 선임이 관행상 각 당에서 합의를 통해서 간사를 위촉하면 그 부분에 대해서 그냥 받아들여주는 그런 관행이 있었는데 그것도 이 정치가 존재할 때 서로 간에 존중할 때 있었던 관행이고 지금은 나경원 의원을 법사위에 보낸 이유가 이 법사위를 파행시키겠다는 의도가 너무 다분하기 때문에 추미애 위원장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는 것이고 결국에는 나경원 의원이 이거를 전략을 잘못 세운 것 같아요. 처음에 조금 본인이 나름 핍박받는 내가 간사를 하고 싶고 잘해 보겠습니다. 이게 아니라 초선들은 가만히 앉아 있어. 아무것도 모르면 앉아 있어. 이런 발언을 하면서 민심을 잃어버렸죠. 그다음에 일단 검찰의 구형이라든지 어떤 이해충돌이 있지만 비교를 해요. 서영교 의원, 박지원 의원 그분들이 어떤 형사적인 재판을 받고 있는지는 제가 알지 못하겠으나 다른 걸 다 떠나서 나경원 의원의 배우자가 춘천지방법원장입니다. 그러면 나경원 의원이 법사위원으로 춘천지방법원을 가서 남편을 상대로 질의와 국정감사를 해야 합니다. 그게 가능할까요? 보통 이렇게 되면 본인 남편이 그만두든지 아니면 본인이 법사위 위원을 그만두든지 이렇게 기피 신청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고집을 피우는 것 자체가 본인도 알면서 무엇을 얻기 위해서 이렇게 법사위를 파행을 시키는 주인공으로 등극하려고 하는지 아마 지방선거를 의식한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이해할 수 없는 그런 행보다라고 지적하고 싶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알겠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편집부)
NAVER에서 SBS NEWS를 구독해주세요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