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비자원
백화점을 방문한 소비자 네 명 중 한 명은 불편한 상황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소비자들은 백화점 이용 때 주차와 편의시설에 대한 불만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공익네트워크와 소비자 1,500명을 대상으로 주요 백화점 3사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를 오늘(19일) 밝혔습니다.
조사 대상 소비자들 중에서 374명(24.9%)은 백화점 이용 때 불만이나 피해가 있었다고 답했습니다.
불편함을 겪었다는 소비자 374명 중 주차·편의시설 이용에 대한 불만이 196명(52.4%)으로 가장 많았고 매장 혼잡·이동 동선 불편에 대한 불만이 160명(42.8%)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각 사업자에게 주차·휴게 공간 확보와 위치 정보 안내 강화, 매장 이동 동선 분리 등 서비스 개선을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주요 백화점 3사의 종합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81점이었습니다.
업체별로는 현대백화점이 3.85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세계백화점(3.83점)과 롯데백화점(3.75점) 순이었습니다.
서비스 이용 5개 항목 중에서는 매장 외관과 내부 시설 청결 등 '시설·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4.12점으로 가장 높았고, 고객 맞춤형 서비스 등 '고객 공감'은 3.81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핵심 서비스 7개 항목 중에서는 브랜드·상품의 다양성을 평가한 '브랜드·상품' 만족도가 4.00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가격과 주차 만족도는 각각 3.66점, 3.77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업체별로 보면 '브랜드·상품'에서는 신세계백화점이 4.00점, 식·음료 매장과 문화·체험 프로그램 등 '부대시설'에서는 현대백화점이 3.91점으로 각각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소비자들이 백화점을 이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브랜드·상품 다양성'(40.2%)이었고 '매장의 접근성'(23.0%), '다양한 혜택'(12.8%) 등의 순이었습니다.
신세계백화점은 '브랜드·상품 다양성', 롯데백화점은 '매장 접근성', 현대백화점은 '직원 응대·서비스 품질 우수성'을 각각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많았습니다.
백화점 방문 시 가장 지출 금액이 높은 품목은 '가전·가구'로 평균 131만 6천 원이었습니다.
이어 '명품 브랜드 의류·잡화'(118만 1천 원), '명품 브랜드 이외 의류·잡화'(44만 6천 원), '식품관 상품'(17만 4천 원) 등의 순이었습니다.
(사진=한국소비자원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