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작년 4대 그룹 국내 고용 75만 명 근접…삼성·현대차 증가 견인

작년 4대 그룹 국내 고용 75만 명 근접…삼성·현대차 증가 견인
국내 대기업들이 일제히 청년 채용 계획을 내놓은 가운데 최근 5년간 주요 4대 그룹(삼성·SK·현대차·LG)의 고용 현황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삼성과 현대차는 2020년 이후 고용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지만, SK와 LG의 작년 직원 수는 2020년보다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공정거래위원회에 공시된 4대 그룹의 직원 수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습니다.

공정위에 공시된 고용 현황은 해외 인력을 제외한 국내 기준입니다.

지난해 4대 그룹의 전체 고용 규모는 74만 6,436명으로 2020년(69만 8,526명)보다 4만 7,910명 증가했습니다.

고용 증가율은 6.9% 수준입니다.

삼성은 2020년 26만 2,126명에서 지난해 28만 4,761명으로 직원이 2만 2,635명 늘며 8.6%의 고용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현대차는 2020년 16만 6,925명에서 지난해 20만 3,915명으로 증가했습니다.

고용 증가율은 22.2%(3만 6,990명)에 이릅니다.

반면 SK는 직원 수가 2020년 11만 4,842명에서 지난해 10만 8,301명으로 5.7%(6,541명) 감소했습니다.

LG도 2020년 15만 4,633명, 2021년 15만 8,791명으로 증가한 뒤 인력이 줄어 작년에는 14만 9,459명을 기록했습니다.

고용 감소율은 3.3%(5,174명)입니다.

4대 그룹 고용 변동 현황

한편, 삼성은 8년 연속 일자리를 늘리며 '고용 1위'를 유지했습니다.

삼성전자(12만 3,411명), 삼성디스플레이(2만 1,242명), 삼성SDI(1만 3,122명), 삼성물산(1만 2,237명), 삼성전기(1만 2,200명), 삼성SDS(1만 1,426명), 삼성중공업(1만 1,426명) 등 7개 계열사가 작년 기준 1만 명 이상을 고용했습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향후 2∼3년 사이에 삼성의 국내 계열사 직원 수는 3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며 "미국 관세 등의 영향으로 국내 고용 증가 속도는 해외보다 상대적으로 더딜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전날 4대 그룹을 비롯한 주요 대기업들은 AI, 반도체, 바이오 등 신성장 산업을 중심으로 미래 인재를 확보한다며 신규 채용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계획은 이재명 대통령의 청년 고용 주문이 나온 지 이틀 만에 나왔습니다.

(사진=한국CXO연구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