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단독] 불법 기지국 2개 더 찾았다…소액결제 피해자 늘 듯

[단독] 불법 기지국 2개 더 찾았다…소액결제 피해자 늘 듯
<앵커>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에 악용된 것으로 보이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2개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앞서 KT가 발표했던 것보다 더 많은 불법 기지국이 확인되면서, 피해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관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KT가 파악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수는 모두 2개였습니다.

이 기지국을 통해 5천561명의 가입자 식별번호, IMSI가 유출된 정황이 확인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했고,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한 적 있는 1만 9천여 명에 대해서는 무료로 유심을 교체해 주기로 발표했습니다.

[김영섭/KT 대표 (지난 11일) : 염려를 끼쳐 죄송하고 피해 고객에게 머리 숙여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그런데 SBS 취재 결과 무단 소액결제에 악용된 걸로 보이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2개 더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합동조사단이 소액결제 피해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추가로 나온 겁니다.

불법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한 가입자들이 늘어날 수 있고, 피해자 수 역시 당초 KT가 집계한 278명에서 더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과기부는 새로 발견한 불법 소초형 기지국 2개에 접속한 KT 가입자 수를 파악하는 한편, 해당 기지국을 통해 유출된 정보 내용 등을 확인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T는 오늘(18일) 오후 브리핑을 열고 소액결제 피해와 관련한 추가 대응 현황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한편 소액결제 피해 사건의 첫 발생일이 최초 언론 보도 보다 약 한 달 앞선 것으로 확인되면서 KT의 초기 대응 실패에 대한 책임론도 계속 확산하고 있습니다.

국회는 오는 24일 KT와 LG유플러스 CEO와 통신 3사 보안책임자를 증인으로 불러 통신사 해킹 논란을 따져 물을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 위원양)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