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D리포트] "송아지 단계에서 '부모 자격' 가려냅니다" DNA로 '능력' 판별

[D리포트] "송아지 단계에서 부모 자격 가려냅니다" DNA로 능력 판별
낙농업의 관건은 질좋은 우유를 많이 생산할 수 있는 젖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일입니다.

그런 젖소를 교배해낼 수 있을지, 적절한 씨수소 여부를 판별하려면 수소가 5.5세가 될 때까지는 지켜봐야 했습니다.

그런데 앞으로는 생후 1년 반 정도만 키워놓은 상태에서도 판별이 가능해집니다.

종우 관리에 들어가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겁니다.

DNA를 활용한 유전체 평가 기술이 국내에 첫 도입됐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젖소의 우유 생산 능력은 부모의 혈통이나 생산 기록을 토대로만 평가했는데, 이제는 개체별로 DNA 분석 결과를 반영해 판별을 훨씬 빠르게 하고 정확도도 크게 높아진다는 게 농촌진흥청의 설명입니다.

아직 번식이 가능하지 않은 송아지 시기에 내린 평가의 정확도가 25%에서 60%까지 향상됐습니다.

[당창권/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 유전체로 정확한 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서 송아지의 단계에서 씨수소를 선발하든지 암소의 능력을 미리 알아서 농가에서 선발을….]

농진청은 개별 낙농가에서 비용 절감 효과를 바로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농협 등에서 관리하는 씨수소 뿐 아니라,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기르는 암송아지들의 DNA도 조기 평가해 우수한 개체는 씨수소와 교배하고 능력이 떨어지는 개체는 조기 처분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육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안영삼/젖소 목장 대표 : 한 10% 정도 생산이 떨어지고 번식 등이나 여러 가지 질병에 취약한…. 소들을 착유소까지 만드는 데는 한 500만 원 정도의 생산비가 생기는데요. 농장주가 사전에 캐치하고 알 수 있으면 생산비가 많이 절약될 것 같고요. 농장 생산성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

암소가 생후 우유를 생산하기까지 약 3년이 걸리고, 이때까지 평균 1,768만 원의 사육비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이 젖소가 생산해낼 수 있는 우유 판매 수입은 1,187만 원에 불과해 마리당 581만 원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유전체 능력 평가를 활용하면 이런 손실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단 겁니다.

농촌진흥청은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와 협력해 내년부터 농가 서비스를 본격 추진하고, 유전체 자료 수집 규모도 현재 연간 1천 두에서 3천 두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취재 : 엄민재, 영상편집 : 김호진,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