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서울 아파트 '사자>팔자'…매매수급지수 7주 만에 100 돌파

서울 아파트 '사자>팔자'…매매수급지수 7주 만에 100 돌파
▲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가 다시 기준선인 100을 넘어섰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0.2를 기록하며 7월 3주 차(100.1) 이후 7주 만에 기준선인 100을 돌파했습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높은 것은 시장에 집을 팔려는 사람보다 사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6월 4주 차(6월 23일 자) 조사에서 104.2를 기록한 뒤 6·27 대출 규제 이후 하락하기 시작해 7월 4주 차(7월 21일 자) 조사에선 기준선 밑으로(99.3)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이번 주 성동(0.20→0.27%)·광진(0.14→0.20%)·마포구(0.12→0.17%) 등 한강벨트 비규제 지역과 강남(0.09→0.15%), 서초·용산구(0.13→0.14%), 중구(0.11→0.16%) 등 인기지역의 가격 상승폭이 커지면서 수급지수도 다시 기준선을 넘었습니다.

한국부동산이 조사한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0.08%) 보다 높은 0.09% 상승해 5주 만에 오름폭이 확대됐습니다.

권역별로는 5개 권역의 수급지수가 모두 지난주보다 상승한 가운데 종로·중구·용산구 등이 있는 도심권의 수급지수가 104.3으로 가장 높았고, 양천·영등포·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이 102.7로 뒤를 이었습니다.

또 강남 3구와 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이 102.0, 마포·서대문·은평구가 있는 서북권이 101.4를 기록했습니다.

동북권은 성동·광진구 한강변 아파트의 신고가 거래 증가에도 불구하고 노원·도봉·강북구 등 중저가 아파트 지역의 매수 심리 회복이 상대적으로 더디며 5대 권역 가운데 유일하게 99.5로 100 이하에 머물렀습니다.

마포구 아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6·27 대책 이후 한동안 매매시장이 잠잠했는데 8월 들어서면서부터 문의가 늘고 거래가 늘고 있다"며 "전용 85㎡는 신고가 거래도 나타나고 있어 당분간 가격이 강세를 보일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유튜브 구독 500만 이벤트!
>